전체기사

thumbimg

전기차 전환 실패하면 60조원 손실?…英 'EV 2035' 시나리오
영국이 전기자동차 전환에 실패하거나 속도가 늦어지면 약 60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산업연맹(CBI)과 에너지및기후정보연구소(ECIU)는 'Electrifying Growth'(짜릿한 성장) 보고서를 통해 영국이 전기차 전환 정책...2024-10-14 14:22:20 [조인준]

thumbimg

전세계 153개 시민단체, 韓 정부에 '플라스틱 생산감축' 촉구
▲지난달 11일 플뿌리연대 활동가들이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플라스틱 쓰레기와 플라스틱 괴물이 쏟아지는 수도꼭지를 잠그는 퍼포먼스를 진행하는 모습 (사진=플뿌리연대) 전세계 시민단체가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지막 협상회의 개최국인 한국 정부에 '플라스틱...2024-10-14 14:17:19 [이재은]

thumbimg

17일 '수퍼문' 뜬다...가장 크게 보이는 시간은?
올해 가장 큰 보름달인 '수퍼문'이 1년2개월만에 뜬다. 지난 수퍼문은 지난해 8월 31일에 떴다.14일 국립과천과학관에 따르면 이번 수퍼문은 서울 기준 17일 오후 5시 38분에 떠서 다음날 오전 7시 22분에 질 예정이다. 달이 가장 크게 보이는 시간은 ...2024-10-14 13:59:22 [조인준]

thumbimg

"판매량 수치 정정했을 뿐...폄하 아냐"...하이브, CBS 보도에 반론 게재
▲하이브 사옥 ©newstree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가 지난달 25일 '뉴진스 최후통첩 디데이…'계약서'를 주목하라' 보도에 대해 하이브가 14일 반론을 내놨다.반론 보도문에 따르면 하이브는 당시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한 ...2024-10-14 13:55:22 [김나윤]

thumbimg

폐배터리서 금속자원 추출하는 '미생물' 3종 발견
▲양극활물질 NCM 111 대상 금속 침출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사진=환경부)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폐배터리의 핵심광물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환원할 수 있는 미생물 3종을 경상북도의 한 폐광산에서 발견하고 이들 미생물의 금속자원 추출 및 분리 가능...2024-10-14 12:10:04 [김나윤]

thumbimg

[문학단상] 몽고반점이 꽃이 될 때 – 한강의 ‘몽고반점’
'몽고반점'은 한강의 작품들 중에서 가장 기묘한 얼룩을 지닌 소설이다. 독자는 그 원초적 이미지에 물들고 그 짜릿한 미학에 멍든다. '몽고반점'은 1부 '채식주의자'에 이어지는 중편으로서 3부 '나무 불꽃'과 함께 <채식주의자>라는 장편 소설집의 ...2024-10-14 11:00:31 [황산]

thumbimg

50년만에 쏟아진 폭우...사하라 사막에 '호수' 생겼다
▲모로코 남동부 사막에 내린 폭우로 물웅덩이가 형성돼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계에서 가장 건조한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에 50년만에 폭우가 쏟아져 홍수가 났다.1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AP통신 등은 지난달 모로코 남동부 지역에 이틀간 연평균 강수량을...2024-10-14 10:50:58 [김나윤]

thumbimg

'오징어' 동해 특산물 옛말되나?...수온상승에 어획량 급감
▲해풍에 몸 말리는 오징어 (사진=연합뉴스) 동해의 수온이 전세계 평균속도보다 3배 이상 빠르게 상승하면서 명태는 씨가 마르고 오징어는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이 지난 13일 발간한 '2024 수산 분야 기후변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68&s...2024-10-14 10:48:18 [이재은]

thumbimg

"최근 대화내용도 알려준다"…SKT, 통화서비스 AI기능 강화
▲SK텔레콤 AI 전화 '에이닷 전화' (사진=SKT) SK텔레콤이 이전에 했던 통화내용을 정리해주거나, 무슨 말을 하면 좋을지를 제안해주는 등 인공지능(AI) 전화 기능을 강화했다.SKT가 대표 통화 플랫폼 'T전화'에 AI 전화 기능을 강화해 '에이닷 전화...2024-10-14 10:32:18 [조인준]

thumbimg

현대바이오랜드, 멸종위기식물 5종 인공식재…"종 다양성 지키자"
▲멸종위기 식물 식재에 참가한 현대바이오랜드·대전서구청·대한적십자사 임직원들(사진=현대바이오랜드) 현대바이오랜드가 지속가능한 환경∙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야생식물 인공식재에 나선다.현대백화점그룹 종합 헬스케어기업 현대바이오랜드는 멸종위기...2024-10-14 09:43:07 [조인준]

thumbimg

LG유플러스 '전자폐기물 없는 날' 맞아 안쓰는 전자제품 수거
▲14일 오전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황현식 대표(왼쪽 네번째)가 전자폐기물 수거 캠페인에 동참하며 전자제품을 전달한 직원들과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14일 '세계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임직원 가정과 전국 매장, 사옥...2024-10-14 09:40:54 [이재은]

thumbimg

SPC, 신세계 출신 임병선 총괄사장 대표이사 내정
▲임병선 총괄사장 (사진=SPC) SPC그룹이 14일 임병선 총괄사장을 SPC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임병선 사장은 신세계 백화점부문 부사장, 신세계까사 대표이사, 신세계그룹 경영전략실부사장 등을 거친 경영 전문가다. SPC는 이번주 중 이사회를 열어 임병선 총...2024-10-14 09:35:59 [김나윤]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