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김혜지 기자 / 기사승인 : 2025-11-17 12:06:35
  • -
  • +
  • 인쇄
서스틴베스트 올하반기 ESG 평가결과 발표
현대홈쇼핑-현대백화점-유한양행이 1~3위
▲2025년 하반기 ESG 우 Best Companies (사진=서스틴베스트)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됐다. 지난해 2위를 했던 KT는 하반기 발생한 사이버해킹 사건으로 50위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고, 네이버는 7위로 밀렸다. 이 영향 탓인지 지난해 3위였던 현대홈쇼핑이 1위를 꿰찼다. 

ESG 평가기관 서스틴베스트가 국내 1299개 상장·비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 하반기 ESG 평가'에 따르면 사회(S) 영역에서 관리체계 관련 지표는 전반적으로 강화됐지만 현장의 위험상황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기업 가운데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 보유 비율은 54.1%로 전년 같은기간에 비해 15.5%포인트(p) 상승했고, 정보보호시스템 인증 보유 기업도 32%로 8.8%p 늘었다.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들은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을 갖춘 비율이 57.9%에서 83.5%로 급등했고, 정보보호시스템 인증을 가진 곳도 48.3%에서 62.7%로 상승했다. 협력사 ESG 평가를 실시한 대기업 비율은 49.9%에서 55.6%로 높아졌다.

하지만 실제로 현장의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산업재해로 인한 감점은 전년 88건에서 올해 148건으로 60건 증가했다. 특히 대기업 증가폭이 컸으며,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의 감점은 74건에서 132건으로 2배 가까이 늘었다. 현대건설, 현대차, 포스코이앤씨 등은 본사와 종속회사에서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무려 60점까지 감점됐다. 관리체계는 갖춰씨만 실제 위험통제 능력은 이를 제대로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스틴베스트 류영재 대표는 "관리체계를 갖추는 것과 성과가 개선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라며 "겉으로 보이는 ESG에만 집중하면 현장의 안전 관리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재해와 정보보호는 기업의 대표적인 ESG 핵심 리스크인데, 인증만으로는 충분한 예방과 통제가 가능하지 않다"며 "투자자들은 이제 관리 체계의 존재 여부보다 그것이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보고 싶어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고 재발 방지 조치, 위험 점검 방식 등 실제 운영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들의 ESG 평가순위. 노란색은 올 하반기 톱100 신규편입 종목 (출처=서스틴베스트)

서스틴베스트는 매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전 영역에서 우수한 성과를 낸 100개 기업을 'ESG 베스트 컴퍼니스'로 선정하는데, 올해는 S부문에서 감점이 많아 지난해에 비해 순위가 많이 변화됐다.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 그룹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가스공사, 오리온, 대신증권, 신세계, 오뚜기, 오리온홀딩스, 롯데렌탈, 에스오일 등이 순가 순위 50위권에 신규 신입한 모습을 보였다. 반면 KT와 SK텔레콤, 포스코 등은 순위에서 빠졌다.

자산 5000억 이상 2조원 미만 그룹에서는 지난해와 동일하게 HK이노엔이 1위를 했다. 현대그린푸드와 동아ST, 한독, 에스티팜이 그 뒤를 나란히 차지했다. 지난해 2위를 했던 HL디앤아이한라는 11위로 밀려났다. 자산 5000억원 미만 그룹에서는 동일고무벨트와 HD현대에너지솔루션, MNC솔루션이 나란히 1~3위로 선정됐다. 

 자산 2조원 이상 기업군에서는 현대홈쇼핑,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등이, 5천억~2조 원 미만 기업군에서는 HK이노엔, 현대그린푸드, 동아ST가, 5천억 원 미만 기업군에서는 동일고무벨트, HD현대에너지솔루션, MNC솔루션 등이 명단에 포함됐다.

서스틴베스트는 이번 결과가 단순한 체계 확충이나 인증 보유를 넘어, 실제 현장에서 성과와 실행력을 입증하는 ESG 경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대주·ESG경영개발원, ESG 컨설팅·공시 '협력'

대주회계법인과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ESRS·ISSB 등 국제공시 표준 기반 통합 컨설팅 서비스 공동개발에 나선다.양사는 14일 ESG 전략·공시&mi

JYP, 美 타임지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

JYP엔터테인먼트가 미국 타임지 선정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 성장기업' 세계 1위에 올랐다.JYP는 미국 주간지 타임과 독일 시장분석기업 스태티스타가

우리은행, 1500억 녹색채권 발행…녹색금융 지원 확대

우리은행이 1500억원 규모의 한국형 녹색채권을 발행하며 친환경 분야에 대한 금융 지원을 확대한다.우리은행은 기후에너지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

"페트병 모아 사육곰 구한다"...수퍼빈, 곰 구출 프로젝트 동참

AI 기후테크기업 수퍼빈이 이달 1일 녹색연합과 함께 사육곰 구출프로젝트 '곰 이삿짐센터'를 시작하며, 전국 어디서나 참여할 수 있는 자원순환형 기

아름다운가게, 돌봄 공백에 놓은 아동·청소년 돕는다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가 재단법인 서울시복지재단, 사단법인 피스모모와 함께 13일 협약식을 갖고 '가족돌봄아동·청소년 연결 및 지원사업-함께

기후/환경

+

"공적금융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하면 일자리 2배 증가"

공적 금융기관들이 화석연료 대신 청정에너지 사업에 투자를 늘리게 되면 국내 일자리가 대폭 늘어나 취업난의 새로운 열쇠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이 왜 받아?...엉뚱한 나라로 흘러가는 기후재원

부유국 기후자금이 최빈국보다 중소득국에 더 많이 흘러간 것으로 나타났다.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과 카본브리프가 공동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사고발생한 기업들 ESG 순위도 추락...산재로 감점 2배 증가

자산 2조원 이상의 대기업 가운데 현대홈쇼핑과 현대백화점, 유한양행, 풀무원, 한국지역난방공사가 올 하반기 서스틴베스트 ESG 평가에서 상위에 랭크

아열대로 변하는 한반도 바다...아열대 어종 7종 서식 확인

우리나라 연안의 바다 수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전에 없었던 아열대 어종들이 줄줄이 발견되고 있다.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나라 배타적경제수역

올해 내린 비가 '달랑 1mm'… 테헤란, 100년만의 최악 가뭄

이란의 수도 테헤란이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다.16(현지시간) 이란 국영 IRNA통신에 따르면 올들어 테헤란에는 고작 1mm의 비만 내렸다. 이는 100년만의 최

[COP30] "기후정책만으로 부족"...실행 위한 금융시스템 논의

국제사회가 기후위기 대응을 약속이 아닌 실행을 하려면 기후금융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데 동감하고 있다.15일(현지시간) 브라질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