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반복되는 노동자 사망 사고…ESG등급 '뚝'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2-04-12 10:39:50
  • -
  • +
  • 인쇄
KCGS, 산업재해 반복으로 등급 한단계 낮춰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등 친환경 역행 행보도


반복적인 노동자 사상 사고가 발생한 포스코홀딩스의 ESG등급이 하락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은 지난 5일 ESG등급위원회를 개최, 포스코홀딩스의 ESG 통합 등급을 기존 A+에서 A로 한단계 낮췄다고 12일 밝혔다.

KCGS는 반복적인 산업재해 발생으로 안전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판단해 등급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환경(E)과 지배구조(G) 등급은 기존의 A와 A+를 유지했지만, 사회(S) 등급을 A+에서 A로 조정했다. 이에 통합 등급도 한단계 하락한 것이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스코지회 등에 따르면 2018년 7월 최정우 회장 취임 이후 산업재해로 노동자가 죽거나 다치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노조에 따르면 최 회장 취임 이후 포스코에서 산업재해로 인한 노동자 사망사고는 24명이다.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최 회장과 경영진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지난 1월말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에도 포스코에서는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7일 오후 2시쯤 광양제철소 합성천연가스(SNG) 설비 철거 현장에서 하청 건설업체 노동자 1명이 케이블 하역작업 중 7m 높이에서 추락했다. 이 노동자는 외부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결국 사망했다.

같은날 광양제철소 코크스공장에서 에서 추락사고로 하청 노동자 1명이 사망했고, 같은날 다른 노동자 1명은 중장비에 협착돼 팔을 잃었다.

이같은 사고가 반복되자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등은 이날 중대재해처벌법에 의거해 최 회장 등이 책임을 져야 한다는 내용의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에 결국 ESG등급도 하락한 것이다. 또 다른 ESG 평가기관인 서스틴베스트도 포스코를 2018년부터 2022년 2월까지 노동자 사상 사고에 따른 컨트로버시(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건 사고) 대상으로 10회 선정했다. 이는 서스틴베스트 평가 대상 기업 중 가장 많은 수치다. 서스틴베스트는 이를 토대로 포스코를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른 리스크가 큰 기업으로 꼽았다.

게다가 포스코는 현재 환경 분야에서도 논란을 빚고 있다. 우선 해외 제철소에 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노력이나 투자가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심지어 화석연료를 감축하기는커녕 2054년까지 가동할 수 있는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를 짓는 중이다. 포스코는 현재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삼척에 블루파워 석탄화력발전소 2개를 건설중이다. 이에 환경운동연합은 "1호기와 2호기가 모두 가동되면 연간 570톤의 초미세먼지와 1300만톤의 온실가스가 배출된다"며 "이는 연간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의 1.8% 수준이고, 정부가 2025년까지 감축하고자 하는 양보다 많다"고 비판했다.

지난달 2일 우여곡절 끝에 지주회사 체제를 출범한 포스코는 지주사 역할로 'ESG리더·디렉터'를 강조했다. 최 회장 역시 취임하면서부터 '기업시민'을 내세우며 모두와 함께 지속성장해야 한다는 말을 이어오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포스코의 행보는 이런 말들과는 정반대다. 최 회장과 포스코의 말들이 'ESG워싱'이라고 지적받는 이유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캐나다 1주일째 '활활'...720건 넘는 산불에 '속수무책'

캐나다가 1주일째 대형산불로 신음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캐나다산불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725건의 산불이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는 군과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