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폭증에 에너지 전환 물건너 가나?...'2050년도 화석연료 절반 이상'

변석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17 16:38:48
  • -
  • +
  • 인쇄
▲美텍사스에서 건립되고 있는 오픈AI의 AI 데이터센터 (사진=AP연합뉴스)

올 상반기 전세계 재생에너지 생산전력이 사상 처음으로 석탄을 앞질렀지만 현재 재생에너지 확대속도로는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전력수요를 따라잡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2050년에 이르러서도 화석연료 사용비중이 절반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컨설팅업체 맥킨지가 지난 10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에도 화석연료가 전세계 에너지 소비량의 41~5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현재 화석연료 에너지 소비량 64%보다 낮은 수치지만 여전히 탈탄소 목표에는 한참 못미치는 수준이다.

화석연료 퇴출이 어려운 이유는 AI와 데이터센터 증가를 꼽았다. AI 데이터센터는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보관·전송·관리하는 시설로, 안정적인 전력을 대량으로 공급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보고서는 전세계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2030년까지 연평균 17%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의 AI 데이터센터 수요는 더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폭증은 현재 재생에너지 성장속도로는 전력 공급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화석연료 발전을 존속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특히 천연가스의 발전용 수요는 2050년까지 연평균 2%씩 성장하면서 지금보다 5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현재 탈탄소 시나리오만으로 2050년까지 파리기후변화협약에서 목표했던 산업화 이전대비 지구평균기온 1.5℃ 억제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봤다. 탈탄소 시나리오는 탄소배출량을 '낮은·중간·높은' 3가지로 구분해서 2050년까지 지구 평균기온 1.5°C 제한이 가능한지 여부를 시뮬레이션 하는 것이다. 탄소배출량을 '높게' 보고 급진적으로 에너지 전환을 시도했을 때조차 2050년 1.9°C 상승으로 나왔다. 이는 목표치보다 0.4°C 높은 것이다.

파리협약 이후 한동안 탈탄소를 지향하던 세계 에너지 산업은 AI와 전쟁 등으로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에너지안보와 공급 안정성로 방향이 바뀌고 있다. 이에 대해 맥킨지는 "지금 세계는 2050 넷제로 달성 궤도에 있지 않다"고 단언하면서 "탈탄소 기로에 있는 지금 단일한 해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각 국가의 여건에 맞는 현실적 전환 전략 모색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에너지 공급의 신뢰성과 경제성 확보가 앞으로 에너지 전환을 좌우할 요소라고 짚었다.

맥킨지 보고서는 '글로벌 에너지 퍼스펙티브(Global Energy Perspective) 2025'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경기도 "기후행동 실천하면 방화복 재활용한 의류·가방 드려요"

일상에서 기후행동을 실천하면 폐방화복을 재활용한 의류와 가방을 받을 수 있다.경기도는 기후행동 이벤트 '방화복의 두 번째 이야기'를 오는 11월 19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서울우유 멸균팩 '알루미늄 뺐다'...재활용 분리배출 가능

멸균팩은 음료를 장기간 보존하기는 좋지만 속지로 사용한 알루미늄 때문에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처음으

KGC인삼공사 '사내 발명데이' 개최...27건 아이디어 접수

KGC인삼공사가 지난 14일 과천에 있는 R&D센터에서 임직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장려하기 위한 '정관장 발명왕·발명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2

신한·KB·하나·우리...금융지주, 상반기 ESG평가 S등급 '싹쓸이'

신한금융, 네이버,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KT 등 6개사가 한국ESG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올 상반기 ESG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ESG평가원은 지

“CO₂감축만으로 부족해”...구글 '슈퍼 온실가스'까지 감축한다

구글이 이산화탄소를 넘어 메탄과 냉매가스 등 '슈퍼오염물질(super-pollutants)' 감축에 나섰다.2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구글은 단기

기후/환경

+

열대야가 부른 '수면 위기'…기후변화로 수면패턴 깨진다

열대야가 길어지면서 기후위기가 인간의 수면 패턴까지 흔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여름에 발생하는 열대야는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

스티로폼 미세플라스틱 흡입하면 '폐조직 손상' 유발

스티로폼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입되면 폐를 손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국가독성과학연구소 이규홍·우종환 박사와 전북대

뉴스트리, 세명대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 지원사업'에 선정

뉴스트리가 세명대학교 저널리즘대학원이 주최한 '2025년도 2차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에 선정됐다.언론의 기후위기 대응 보도를 장려

WTO "보건정책 핵심의제는 기후위기"...아태지역 국가에 변화 촉구

세계보건기구(WHO)가 기후위기를 건강의 문제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보건정책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WHO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기후·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멸종위기 담수어 '어름치와 감돌고기' 5000마리 방류

멸종위기종인 어름치와 감돌고기가 금강에 방류됐다.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21일 충남 금산군 금강 상류지역에서 멸종위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