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기차 희비 교차...기아 48.7% 늘었는데 현대차는 7.5% 감소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4-01 17:41:36
  • -
  • +
  • 인쇄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전경(사진=현대자동차)

3월 현대자동차·기아의 친환경 차량판매는 견조한 실적을 보였지만 전기차 부문에서 희비가 교차했다. 기아의 전기차 판매량은 48.7% 증가한데 비해 현대차는 7.5% 감소했다. 

현대자동차는 3월 한달간 국내에서 6만3090대, 해외에서 30만2722대 등 전세계 시장에서 전년 동월 대비 2% 감소한 총 36만5812대를 판매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국내 판매량은 0.9% 늘었지만 해외 판매량은 2.6% 줄었다.

현대차는 친환경 차량을 지난해 동월대비 2% 늘어난 1만9346대를 판매했고, 기아는 10.8% 늘어난 2만3363대를 팔았다. 

현대차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전년 동월 대비 6.5% 늘어난 1만3393대 판매됐고, 수소차 판매량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4% 늘어 296대가 팔렸다. 그러나 전기차 판매량은 7.5% 줄어든 5657대를 판매하는데 그쳤다. 올해 한달 일찍 집행된 전기차 보조금이 소진된데 따른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하이브리드 차량 가운데 싼타페가 4233대로 가장 많이 판매됐고, 그 뒤로 그랜저 3132대, 투싼 2114대, 아반떼 1769대가 팔렸다. 싼타페는 지난해 동월 대비 판매량이 29.2% 감소했다. 이에 비해 아반떼는 282.9% 늘어나면서 3월 친환경차 매출을 견인했다.

전기차 중에선 캐스퍼 전동화 모델이 1185대로 가장 많이 팔렸다. 아이오닉5가 1129대로 그 뒤를 이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판매량이 39.2% 줄었다. 포터(986대)와 아이오닉6(558대)도 각각 전년 동월 대비 91.2%, 40.4% 줄었다. 전체적인 판매량은 줄었지만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이 전년 동기 대비 578.1% 늘어난 217대, GV70 전동화 모델이 141.8% 늘어난 237대 팔렸다.

기아는 3월에 국내에서 5만6대, 해외에서 22만7953대, 특수 99대 등 27만8058대를 판매해 지난해 3월 판매량보다 2.2% 늘었다. 전년 동월 대비 국내 판매는 2%, 해외 판매는 2.3% 증가했다.

기아 친환경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0.8% 늘어 2만3363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하이브리드는 1만6851대, 전기차는 6512대를 팔았다. 특히 전기차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8.7% 늘어났다. 하이브리드 차량 가운데 쏘렌토가 6937로 가장 많이 팔렸고, 카니발이 3912대, 스포티지 2562대, K8 1649대, 니로HEV 1147대가 뒤를 이었다. 전기차 중에는 지난해 6월 출시된 EV3가 3032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그 다음으로 레이EV 1209대, EV6 1163대, 봉고EV 877대로 뒤를 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이달 2일부터 수입차에 25% 관세가 부과되면 4월 미국 판매량에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현대차는 앞서 연초에 정한 3월 국내 판매 목표치를 5% 이상 상향 조정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조치로 다음달부터 미국 판매량이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지 수요와 정책에 적합한 판매·생산체계를 강화해 권역별 시장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며 "경쟁력 있는 신차 출시, 전기차 라인업 확장 등을 통해 전동화 리더십을 확보하고 수익성 중심의 사업운영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