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U 기후 해결책 아니다...저장할 지질층 200년 내 고갈"

박진영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4 16:42:56
  • -
  • +
  • 인쇄
▲AI 이미지

'탄소포집·저장(CCU)' 기술을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전세계 지질층이 업계 추정치의 10분에 1에 불과하고, 앞으로 200년 내에 이 지질층이 고갈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3일(현지시간) 국제 응용시스템 분석연구소(IIASA)와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런던 환경정책센터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대도시와 가깝고 환경적으로 민감한 지형 그리고 지진에 취약한 지역 등을 제외한 안정적인 지질구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세계적으로 CCU에 활용할 수 있는 지질층은 1조4600억톤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끌었던 임페리얼 칼리지런던의 기후과학 및 정책학 조에리 로겔지 교수는 "이는 업계 추정치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CCU는 화석연료 발전소나 기업의 생산공장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서 땅속이나 바닷속 깊은 곳에 영원히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산업체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여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주요한 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했던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지구지속가능성센터의 매튜 기든 교수는 "CCU는 종종 기후위기의 해결책으로 묘사되지만 이번 연구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이 기술은 탄소감축의 제한적인 수단일 뿐"이라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CCU 기술로 이산화탄소를 지질층에 모두 저장했을 때 지구 평균기온을 0.7°C만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이는 이전의 업계 추정치 5°C~6°C 억제할 수 있다는 추정치보다 훨씬 낮은 수치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올 1분기 5000만톤이 조금 넘는 탄소포집·저장 용량이 가동됐다. 지난해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416억톤인 점을 고려하면 CCU 기여도는 극히 낮은 편이다. 

로겔지 교수는 "CCU 기술은 더이상 기후를 안전하게 되돌릴 수 있는 무한한 해결책으로 여겨서는 안된다"며 "가능한 한 탄소배출이 없는 발전원에 의존해야 하며, CCU를 탄소오염을 상쇄하는데 낭비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Nature) 9월 3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물이 얼마나 빠졌으면...오봉저수지 20년만에 발견된 '티코'

극심한 가뭄에 저수율이 13%대로 떨어진 강릉 오봉저수지에서 20여년전에 수몰됐던 티코 차량이 발견돼 화제다.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찰과 강원도소

"CCU 기후 해결책 아니다...저장할 지질층 200년 내 고갈"

'탄소포집·저장(CCU)' 기술을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전세계 지질층이 업계 추정치의 10분에 1에 불과하고, 앞으로 20

가뭄에 저수율 13.5% 불과한데...강릉만 비켜가는 '야속한 비'

야속하게도 비가 절실한 강릉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비가 내리고 있다. 강원 내륙에는 최대 20㎜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지만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