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 늘고 '오징어' 줄고...뜨거워진 동해안 어종 바뀌고 있다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0 16:48:14
  • -
  • +
  • 인쇄
▲동해안 오징어 어획량이 5년 사이 급감했다. (사진=연합뉴스)

동해안은 전세계 연안에 비해 수온이 3배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탓에 어종도 바뀌고 있다.

연일 35℃가 넘는 폭염이 한창인 10일 오후 3시 동해안의 수온도 25.2℃까지 올라가면서 '고수온 예비특보'가 발령됐다.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1968~2024년까지 최근 57년간 전 지구의 표층 수온이 0.74℃ 상승하는 사이 동해안은 2.04℃로 3배 가까이 높아졌다.

이같은 변화는 동해안에서 잡히는 어종과 어획량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난류성 어종인 방어와 참치 등의 어획량은 급격히 늘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많이 잡혔던 오징어 어획량은 급감하는 상황이다. 2018년만 해도 2톤에 불과했던 참치(참다랑어) 어획량은 2024년 168t로 7년 사이에 약 85배 가까이 늘었다. 

다랑어류 어획량도 수백톤으로 늘었다. 2018년 55톤이던 다랑어류 어획량은 2024년 798t으로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많이 잡히던 방어류는 동해안 바닷물이 따뜻해지면서 지난해 4875톤이나 잡히는 등 계속 증가세다. 2018년 305톤에 불과하던 정어리는 지난해 2548톤으로 늘었다.

반면 오징어 어획량은 크게 줄었다. 2018년까지만 해도 1만5900톤에 이르던 오징어 어획량은 2024년 2900톤으로 5년 사이에 80% 감소하는 수준이 됐다.

동해안 수온이 유독 뜨거워진 이유는 바다의 표층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경계선(수온 극전선)이 중부 해역까지 확장하고, 동해역에 열을 수송하는 대마난류의 세기가 1980년대 이후 강해진 데 따른 것이다. 

고수온은 양식 어류 폐사 등 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지난해에는 9월 하순까지 이어진 폭염으로 고수온 발생이 장기화되면서 2018년 이후 1430억원에 달하는 최대규모의 양식생물 피해가 발생했다. 예년보다 폭염이 2주 일찍 시작된 올여름 역시 최고조에 달하는 기온을 기록할 것으로 보여 수자원 피해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