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지진' 예언날짜 지났지만...여전히 불안한 주민들 '탈출러시'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7 10:56:41
  • -
  • +
  • 인쇄
▲일본 도카라 열도의 아쿠세키지마 섬 (사진=연합뉴스)

'일본 대지진'이 일어날 것으로 예언된 7월 5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일본 가고시마현 도카라 열도를 중심으로 지진이 이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대피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6일 일본 NHK방송에 따르면 이날 오전 도카라 열도의 아쿠세키지마 등 2개 섬 마을에서 주민 46명이 섬을 빠져나왔다. 지난 4일에도 섬 주민 13명이 가고시마시로 대피했다.

이는 최근 도카라 열도에서 빈발하는 군발지진이 '7월 대지진설'과 맞물려 큰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홍콩 등지에서는 만화가 다쓰키 료의 '내가 본 미래 완전판' 등을 근거로 일본에서 올해 7월 대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했다. 소셜미디어(SNS)에서는 7월 5일 오전 4시 18분에 대지진이 일어난다는 괴담이 돌기도 했다.

다만 다쓰키 료는 산케이신문에 보낸 메시지에서 5일이라는 날짜는 출판사의 편집 과정에서 잘못 기재됐다고 밝힌 바 있다. 7월에 대규모 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주장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당초 대지진 발생 날짜로 예언된 지난 5일에는 오전 6시 29분경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하기도 했지만 일본 기상청은 대지진설과 도카라 열도 지진 간에 아무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1일부터 6일 오후 3시까지 도카라 열도 근해에서 발생한 진도 1이상 지진은 1500회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일 오후에는 규모 4.9, 5.5의 지진이 연달아 일어났다.

도카라 열도에서는 2021년 12월과 2023년 9월에도 각각 300회 넘는 소규모 지진이 연이어 일어난 바 있으나, 이번 지진은 기존 군발지진 횟수를 훨씬 웃돌고 있다. 기상청은 당분간 도카라 열도 주변에서 최대 진도 6약 수준의 지진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진도 6약은 서있기 힘들고 벽타일, 창 유리가 파손되거나 책장이 넘어질 수도 있는 흔들림이다.

일본 정부는 "일시와 장소를 특정해 지진을 예측하는 일은 현재 과학적 지식으로는 어렵다"며 근거 없는 예언에 의한 불안감 확산에 대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지진설 영향으로 지난 5월 일본을 찾은 홍콩인은 전년 대비 11.2% 감소했고, 주일 중국대사관은 SNS 계정을 통해 자국민들에게 지진을 포함한 자연재해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또 일본 내 부동산 구입에 대한 신중한 판단을 권고했다.

지난 2일 홍콩 그레이터베이항공은 일본 대지진 소문 확산으로 탑승객이 급감했다며 오는 9월 1일부터 홍콩과 일본 소도시 2곳을 각각 잇는 정기 노선 운항을 당분간 중단한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최근 여행업체에 일본 내 안전 여부를 확인하는 문의가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SNS 등에서는 불안감을 드러내는 게시글이 여럿 게시됐고, 일본행 항공비도 대폭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본 항공비는 매년 이맘때 무더운 여름으로 인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삼성물산, 판교 건설현장 사망사고에 사과..."모든 공사중단"

삼성물산은 29일 경기도 분당구 '판교PSM타워' 오피스텔 신축현장에서 60대 하청 노동자가 작업중 사망한 사고에 대해 "책임을 깊이 통감한다"고 사과한

KT "해킹 피해 고객에 5개월간 100GB·15만원 보상"

KT가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해 5개월간 무료 데이터 100기가바이트(GB)와 15만원 상당의 통신요금 또는 단말기 교체비를 지원한다고 29일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기후/환경

+

목표를 이미 60% 달성?...2035년 NDC 산업 배출전망 '뻥튀기'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 과정에서 과거의 '산업부문 배출 과대추정 방식'이 그대로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윤석열 정부가

해상풍력 확대한다면서..."개정된 기후부 지침서 환경·주민 배제"

정부가 개정한 해상풍력 환경성평가 지침에 환경영향과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진보당 정혜경 의원실이 녹색연합과 함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