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엑스포' 부산유치 실패...'박빙·결선' 정부 예상은 빗나갔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11-29 09:58:18
  • -
  • +
  • 인쇄
사우디 리야드 119표로 1차 표결에서 결정
부산은 29표로 결선투표 못가...로마는 17표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73차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에서 '2030 엑스포' 개최지 투표 결과 부산이 탈락하자 아쉬워하는 우리나라 대표단 (사진=연합뉴스)

박빙을 예상했던 '2030 부산엑스포' 유치가 결국 사우디의 오일머니를 넘지 못하고 참패하고 말았다.

28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 제173차 총회에서 부산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게 무려 119대 29로 졌다. 부산은 1차 투표에서 리야드에게 90표나 뒤졌기 때문에 2차 투표는 진행되지도 않았다. 이탈리아 로마는 부산보다 뒤진 17표를 얻는데 그쳤다. 

개최지는 참여국 가운데 3분의 2가 넘는 표를 얻으면 선정된다. 리야드는 165개 참여국 가운데 3분의 2인 110표를 넘겼기 때문에 결선 투표 없이 '2030 엑스포' 개최지로 선정됐다.

우리나라는 결선 투표에서 리야드를 누르고 개최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세웠지만, 1차 투표에서 모든 것이 결정나면서 이같은 전략은 사실상 수포로 돌아갔다. 

당초 사우디가 월드컵을 유치하게 되면 부산이 엑스포 개최지로 유리할 것으로 전망했던 것이다. 지난 1일 잔니 인판티노 국제축구연맹(FIFA) 회장은 자신의 소셜서비스(SNS)에 "아시아(사우디)에서 2034년 월드컵이 개최될 예정"이라며 사우디의 월드컵 유치 가능성을 시사했던 것이다. 국제행사는 한 국가에서 연속적으로 개최되지 않도록 하는 관례를 비춰보면, 사우디가 월드컵과 엑스포를 모두 유치하기란 쉽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같은 예상은 보기좋게 빗나갔다. 워낙 큰 표차로 졌기 때문에 애시당초 정부의 분석이 잘못됐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찌감치 엑스포 유치전에 뛰어든 사우디는 막대한 자금력을 동원해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 상태에서 우리나라가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든 것이어서 판세 뒤집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정부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롯해 장관들까지 나서서 엑스포 유치를 위해 회원국들을 순방했고, SK와 삼성, 현대차 등 민간기업을 앞세워 엑스포 유치 홍보전을 펼쳤다. 이같은 유치활동을 펼친 덕분에 많은 지지표를 얻었다고 정부는 낙관했지만 결과는 역전에 실패했다. 막판에 이탈리아 로마가 엑스포 유치를 거의 포기한 모습이었기 때문에 정부는 부산 유치 가능성에 더 희망회로를 돌렸다. 그러다보니 총회 하루전까지 박빙으로 판세를 분석했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30 엑스포'를 유치한 사우디는 '변화의 시대:미래를 내다보는 내일로 함께'라는 슬로건으로 이번 엑스포를 개혁의 발판으로 삼고 있다. 사우디로선 엑스포라는 전세계적 이벤트를 통해 보수적 이슬람 왕정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국제무대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석유에 의존했던 사우디가 '포스트 오일' 시대를 주창하며 태양에너지 등을 이용해 탄소중립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 엑스포를 만들겠다고 강조한 것도 전세계적 도전 과제인 기후 위기에 맞서 책임있는 국제 사회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사우디는 이미 지속가능한 교통 인프라를 개발하고, 순환경제 모델을 촉진하며, 에너지 효율적인 건물을 조성하는 중이다. 리야드 도심에는 여의도 16배 규모(16만㎢)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킹 살만 공원을 만들어 생태도시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