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끔찍한 생태학살"...우크라 댐 붕괴로 흑해 연안은 '쓰레기장'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2 15:12:13
  • -
  • +
  • 인쇄
▲일부 구조물만 남은 카호우카 댐. 지난 6일 우크라 헤르손주의 카호우카 댐이 붕괴해 인근 마을들이 침수됐다. (사진=연합뉴스)

▲카호우카댐 붕괴로 침수된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 마을에 잔해들이 떠다니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카호우카댐이 파괴되면서 흑해 연안이 물에 휩쓸려온 각종 잔해더미로 '쓰레기장'으로 변했다.

우크라이나 당국은 카호우카댐 붕괴로 침수됐던 남부 헤르손주의 노바 카호우카시에서 홍수로 인한 물이 거의 다 빠졌지만 흑해 연안 항구도시 오데사 해안이 드니프로 강을 따라 떠밀려온 쓰레기에 뒤덮이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 6일 우크라이나 남부 헤르손주에 위치한 카호우카댐 붕괴로 드니프로강 하류의 마을 및 농경지가 대거 침수돼 주민 7명이 실종되고 수만명이 대피했다. CNN은 댐 붕괴로 막대한 환경피해가 발생하고 수만 명의 사람이 전력과 깨끗한 물을 쓰지 못하는 상태가 됐다고 보도했다.

올렉산드르 프로쿠딘(Oleksandr Prokudin) 우크라이나 지역군정청장은 지난 10일 텔레그램에서 붕괴 이후 헤르손주에서 어린이 178명 포함 총 2699명이 대피했다고 밝혔다.

우크라 내무부는 흑해 연안뿐만 아니라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마르하네츠, 니코폴, 포크롭스크 및 흐루시우카 지역사회에 물 공급이 일부 중단됐으며 니코폴 인근 철도 선로가 파괴됐다고 보고했다. 우크라 국가비상사태국에 따르면 주민 379명이 살고 있는 미콜라이우 아파나시우카 마을은 진입로가 완전히 끊겼다.

현재 헤르손주 침수지역은 거의 절반으로 줄어 평균 수위가 27cm 감소한 4.45m지만 드니프로 강 서안의 32개 정착촌이 여전히 침수돼있고 주거용 건물 3784채가 물에 잠겨있다. 홍수 피해지역은 복구되고 있지만 흑해 연안은 카호우카 댐 붕괴로 인해 심각한 오염 위기에 처했다.

프로쿠딘 지역군정청장에 따르면 해당 지역에서 채취된 물의 유해물질 농도는 허용 기준치보다 10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수영과 낚시가 금지됐으며 사람들은 병에 담긴 생수만 마시도록 권고받고 있다.

카호우카 댐 붕괴는 수십 년만에 일어난 유럽 최대의 산업·생태재해 중 하나로 지적됐다. 우크라 내무부는 홈페이지를 통해 "많은 지뢰와 탄약, 기타 폭발물이 해안에 버려지고 해당 구역 어류에 전염병이 도는 것도 확인했다"며 "끔찍한 생태학살의 결과"라고 일침했다.

미국 뉴욕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의 마지막 원자로도 사고 예방조치로 8일 폐쇄됐다.

그러나 댐 붕괴의 원인이 러시아의 공격 때문인지 구조적 결함으로 붕괴했는지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우크라와 러시아는 댐 붕괴의 책임을 상대방에게 돌리며 맞서고 있다.

러시아 외무부는 10일 댐 붕괴를 "우크라군의 조직적 공격" 탓으로 돌리는 성명을 발표했다. 우크라군이 카호우카 수력발전소를 정기적으로 공격하면서 구조물이 파괴됐다는 주장이다.

프로쿠딘 지역군정청장은 러시아에 점령된 동부 제방의 상황도 위급하다며 "현재 14개의 정착촌이 물에 잠겼지만 (러시아) 점령 당국이 대피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Volodymyr Zelensky) 우크라 대통령은 러시아가 점령한 우크라 지역에서 댐 붕괴 희생자를 구출하기 위한 국제적 지원을 요청했다. 그는 10일 밤 연설에서 "러시아는 점령중인 침수지역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군이 러시아 통제하에 있는 헤르손 침수지역에 접근하려는 우크라 구조대원들에게 총격을 가했다고 비난한 바 있다.

러시아가 노바 카호우카시를 점령한 뒤 임명한 블라디미르 리온티예프 시장은 러시아방송 RBC와의 인터뷰에서 "아직 지하실에 남은 물을 퍼내고 에너지를 공급하기 시작했다"며 일주일 내에 시내 일상활동이 회복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6일까지 드니프로강 수위가 과거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기후/환경

+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플라스틱 펠릿으로 뒤덮인 바다...침몰 선박에서 7만자루가 '와르르'

침몰된 선박에서 유출된 플라스틱 알갱이(펠릿)들이 해안가로 밀려오면서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지난 5월 25일 라이베리아 국적의 컨테이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