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ESG 세부지표를 활용한 투자전략의 성과를 분석해 5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초부터 2025년 9월말까지 영역별 투자전략의 기간수익률이 환경 +121.37%, 사회 +97.96%, 지배구조 +33.32%를 기록했으며 동기간 동일가중 코스피 지수는 +63.12%를 기록했다.
환경과 사회 등급을 활용한 전략이 동일가중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을 크게 상회했으며, 이 중 환경 A등급인 종목에 투자하는 전략의 연환산수익률이 +14.82%로 비교지수 대비 연평균 +5.94%포인트(p)의 초과수익률을 보였다.
지배구조 전략의 경우 동일가중 코스피 지수를 하회하는 수익률을 보였으나, 변동성 측면에서 동일가중 코스피 및 환경, 사회 전략 대비 낮은 변동성을 보이며 방어적인 특성을 보였다.
서스틴베스트는 매년 상·하반기 ESG 평가를 실시하며, 각 영역별로 A~E의 5개 등급을 부여한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코스피 구성종목 중 영역별 A등급을 받은 기업을 동일가중 방식으로 구성해 2020년 이후의 성과를 분석했다. 특히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각 영역의 평가결과와 세부지표를 바탕으로 한 투자전략의 수익률을 코스피 및 주요 ESG 지수와 비교·분석했다.
보고서는 ESG 세부지표와 재무성과간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해 환경, 사회 영역에서 재무적 중요성을 보이는 ESG 세부지표를 추가 활용하는 투자전략의 성과를 살펴본 결과, 기존 영역별 전략 대비 수익률 성과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ESG 세부지표를 활용 투자전략의 전체 기간수익률은 환경의 경우 +136.38%, 사회 +113.69%로, 기존 전략 대비 환경은 +15.73%p의 초과수익률을 보였으며 사회는 기존 전략 대비 +15.01%p의 초과수익률을 기록했다.
보고서는 재무적 중요성이 높은 ESG 세부지표를 추가 활용한 투자전략은 일정수준 이상의 환경 및 사회 성과(A등급)를 보유한 기업 중에서도 세부 성과가 미흡한 종목을 추가적으로 투자대상에서 제외해 차별화된 성과를 발휘했다고 분석했다. 또 이러한 ESG 세부지표 활용 투자전략의 수익률을 주요 ESG 지수와 비교했을 때, 환경과 사회 전략 모두 한국거래소의 주요 ESG 지수를 상회했다.
서스틴베스트 환경 세부지표 투자전략의 경우 2020년 1월부터 2025년 9월까지 연환산수익률이 +16.14%로 한국거래소의 환경 관련 지수인 KRX 에코리더스의 +8.85%를 크게 상회했으며, 사회 전략 또한 연환산수익률이 +14.12%로 한국거래소의 사회 관련 지수인 KRX ESG 사회책임경영지수(S)의 +11.75%를 상회했다.
최보경 서스틴베스트 책임연구원은 "영역별 등급에 더해 재무적 중요성을 보이는 세부지표를 활용할 경우, 단순 등급 기반 전략보다 수익률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했다"며 "ESG 성과와 재무적으로 중요한 지표를 함께 고려하면 초과수익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