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똥' 밟았다가 다리 절단할 뻔…英 럭비선수의 사연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8 13:41:34
  • -
  • +
  • 인쇄
세균 감염에 종아리 마비
결국 37년 선수생활 마감
▲럭비 경기를 뛰는 닐 벡스터(좌)와 개똥으로 인해 덧난 상처(우) (사진=닐 벡스터)

만약 귀찮다는 이유로 반려견이 산책하다 싼 똥을 안치우면 한 사람의 인생을 망가뜨릴지도 모른다.

지난 5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스타는 개똥으로 위독한 감염성 부상을 입은 전 럭비선수 닐 벡스터(44)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했다.


37년동안 럭비 클럽에서 뛰어온 닐은 지난해 2월 케임브리지셔 카운티 럭비팀과의 경기 도중 종아리에 작은 상처를 입었다. "이런 상처는 100번도 더 있었다"며 닐과 그의 가족은 대수롭지 않게 여겼지만 며칠이 지나자 상처가 크게 덧났다. 다리는 점점 부풀어 올라 둘레가 10㎝가량 커지고 열이 나기 시작해 결국 병원에 갔다.

의료진은 닐의 정강이뼈 뒷쪽에 큰 종기를 발견해 수술을 진행했다. 의료진은 "닐은 개에 기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으로 연조직염(봉와직염)에 걸렸다"고 진단했다. 연조직염이란 급성 세균 감염증의 하나로 세균이 침범한 부위에 열감이나 부종 등이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경기가 진행됐던 럭비 경기장은 경기가 없을 때는 반려견 산책 코스로 이용됐는데, 일부 견주가 반려견의 변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으면서 상처 부위에 감염이 일어난 것이다.

닐은 무사히 종기를 제거했지만 수술 과정에서 종아리 근육의 20%를 잃었다.

수술 후 1년이 지났지만 그는 "농양(고름)은 3개월에 걸쳐 완전히 제거했지만 무릎 아래 5㎝부터 종아리에 감각이 안느껴진다"며 "핀을 꽂아도 감각이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는 현재 선수직을 은퇴한 상태다.

닐은 이번 일로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럭비를 시키는 것을 꺼려할 것에 대해 우려했다. 그는 "나도 개 2마리를 키우고 있지만 아무 곳에나 똥을 버리진 않는다"며 "1%의 무책임한 견주에게 책임을 묻고 싶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이번 일이 럭비를 즐기러 자녀를 데리고 오는 사람들을 막는 건 아닐까 걱정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강아지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에 감염돼 연조직염에 걸린 사례는 종종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15년 8월 영국에서 럭비선수로 활동하던 20대 남성도 개똥을 밟은 후 다리를 절단할 뻔했다.

또 2세 아이가 풀밭에 앉아 개똥을 만진 뒤 그 손으로 눈을 비빈 후 개에 기생하는 톡소카라증 회충에 의한 감염증에 걸려 한쪽 눈의 시력을 잃을 뻔한 적도 있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환경

+

유네스코 보호지역 98% 기후변화 직격탄…“보존보다 적응이 과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유산이나 생물권보전지역 대부분이 폭염·산불·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날씨] 겨울 부르는 '가을비'...토요일까지 매일 내린다

15일 오후부터 다시 흐려지고 비가 내리겠다. 동해안과 전남 남서부, 제주 동부 등에서는 이날 오전부터 비가 약하게 내리기 시작했다. 이번 비는 16일

등산화·등산복 미세플라스틱 '뿜뿜'...고스란히 자연에 유출

등산화와 등산복 등 아웃도어 제품들이 청정지대인 산악과 호수지역을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13일(현지시간) 미국 세크리드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