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간 배터리로 '극한대립'한 LG·SK, 왜 갑자기 합의했을까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1-04-11 11:23:20
  • -
  • +
  • 인쇄
바이든 행정부의 합의 압박·분쟁 지속에 대한 부담 등
SK이노베이션, 조지아주 공장 차질없이 진행
▲LG와 SK 사옥.(사진=연합뉴스)
LG와 SK가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분쟁과 관련 전격적으로 합의했다. 2년간 미국에서 법적 분쟁을 벌이며 팽팽하게 대립했던 양사의 전격적인 합의는 한미 정부의 요청과 지속되는 법적 분쟁에 대한 양사의 부담 가중 등이 배경으로 보인다.

11일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에 따르면 양사는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관련해 합의를 마쳤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SK가 약 2조원 정도의 합의금을 지불하고 분쟁을 끝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날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들도 "양사가 영업비밀 침해 소송과 관련한 합의안을 이날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양사가 막판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양사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최종 결정 이후에도 서로 한치도 물러서지 않고 대치, 합의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지난달 초에도 양사 최고위급 경영진이 협상을 가졌지만 합의금을 둘러싸고 LG(약 3조원)와 SK(약 1조원)의 주장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결렬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런 예상을 뒤엎고 빠르게 합의가 이뤄진 것은 미국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보다 양사의 합의를 통한 원할한 해결이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전기차 확대 정책에도 도움이 된다는 판단에서다.

만약 ITC 결정에 따라 SK가 미국 내 사업을 못하게 될 경우 대대적인 전기차 확대 정책을 펴고 있는 미국 정부는 배터리 수급난으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SK도 ITC의 결정 이후 미국 공장 건설을 중단하고 유럽으로 옮기는 걸 고려했다. 이에 현지에서는 배터리 공급망이 취약한 미국 완성차 업체에까지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바이든 대통령이 ITC의 결정에 거부권을 행사해 SK를 구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특히 SK이노베이션이 공장을 짓고 있는 조지아주의 주지사는 대통령에게 거부권을 쓰라고 세번이나 요청하기도 했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 입장에서는 거부권을 행사하기도 쉽지 않았다. 이는 ITC 소송에서 승리한 LG를 외면하고 SK의 손을 들어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즉 거부권을 행사하거나 하지 않는 것은 양사 중 한쪽의 손을 들어주는 것이 되기 때문에 어느쪽이든 미국 전기차 업계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결국 미국 정부에서도 가장 좋은 시나리오는 양사가 원만하게 합의하는 그림이었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도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은 "바이든 대통령이 ITC 판결에 거부권을 행사하지 않는 한 (수입금지 조치가) 시행될 예정"이라며 "한국과 미국 정부는 양사가 합의에 도달하도록 압력을 가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LG와 SK 입장에서도 분쟁을 통해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을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SK가 미국 사업을 철수할 경우 거래를 하고 있던 완성차 업체들에 막대한 위약금을 줘야한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전세계 3대 시장 중 하나인 미국 시장을 버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이번 합의로 SK이노베이션에 대한 ITC의 수입금지 조치도 사라진다. 즉 SK이노베이션이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 공장도 차질없이 진행될 것이라는 뜻이다.

LG 역시 회사의 역량을 사업에 집중하지 못하고 소송에 얽매이는 등 타격이 불가피하다. 또 SK가 철수하면서 생기는 시장이 LG의 몫이 될 거라고 장담하기도 어렵다.

현실적으로는 소송 비용도 부담이다. 2019년 4월 첫 소송 제기 이후 2년 동안 양사가 지출한 소송 비용만 수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만약 거부권 행사가 무산되고 SK가 항소까지 진행된다면 비용과 기간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여기에 지속된 분쟁으로 인한 양사의 이미지 악화, 그리고 호시탐탐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는 중국 업체들에게 기회를 주고 있다는 지적 등도 부담이 됐다. 지난 1월 정세균 국무총리는 "양사가 싸우면 남 좋은 일만 시키는 것"이라며 "빨리 해결하시라고 권유했는데 아직 해결이 안 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합의를 요청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