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전자 1분기 동반 '역대 최대' 실적...코로나 장기화 효과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7 15:48:48
  • -
  • +
  • 인쇄
반도체 가격 상승, LG 휴대폰 사업 철수…연간 최대 실적 기대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올해 1분기부터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다.

7일 양사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1분기 매출은 65조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이 9조원을 넘었다. 이는 전년(6조2300억원) 대비 44.19% 증가한 수치다. LG전자 역시 1분기 매출은 18조8000억원, 영업이익은 1조5000억원을 넘어서며 창사 이래 사상 최대 이익을 냈다.

이번 1분기 실적은 증권가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를 두고 업계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보복 소비의 여파로 모바일, 가전 수요가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결과라고 분석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 실적이 저조한 대신 스마트폰(모바일)과 TV·가전이 선전했으며, LG전자 역시 생활가전과 TV를 앞세워 사상 최대 실적을 견인했다.


◇ 삼성전자 매출 62조, 영업이익 9.3조…스마트폰·가전 '선전'
7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1분기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65조원, 영업이익은 9조3000억원으로 각각 전년보다 17.48%, 44.19% 증가했다. 이는 당초 시장 전망치인 영업이익 8조원대를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매출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3분기(66조9600억원)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부문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업계는 이번 호실적을 두고 스마트폰과 가전의 선전이라고 분석한다. 다만 반도체 부문은 미국 텍사스 정전 사태로 오스틴 반도체 공장 가동 중단의 여파로 전분기(3조8500억원), 전년 동기(3조9900억원) 대비 수익성이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IT·모바일 부문은 4조6000억원 안팎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스마트폰 부문의 경우 당초 3월에서 1월로 출시 시기를 앞당긴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 S21'과 보급형 모델 '갤럭시 A'시리즈 판매가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갤럭시 S21 시리즈는 출시 57일 만에 국내 판매량이 100만대를 돌파했고 이는 역대 갤럭시S 시리즈 가운데 네 번째로 빠른 판매 속도이다.

맞춤형 가전 '비스포크'를 앞세운 생활가전 등 가전 부분의 판매 호조도 이번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비스포크는 신혼부부 등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고, 최근 해외 판매를 본격화했다. 증권사별로 추정치는 상이하지만 가전 부문에서 최대 1조원대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총수인 이재용 부회장이 수감 상태인 데다 깊어지는 미·중갈등으로 인해 삼성전자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다는 일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 LG전자 매출 18.8조, 영업이익 1.5조…'역대 최대'
LG전자는 올 1분기 매출액 18조8057억원, 영업이익 1조5178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각각 분기 사상 역대 최대이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7.7%, 39.2% 늘어난 수치이다. 이전까지 LG전자의 분기 최대 영업이익은 2009년 거둔 1조2483억원이었다.

당초 1조원대 초반으로 추정된 영업이익을 크게 웃돌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업계에서는 '오브제 컬렉션'등 프리미엄 생활가전과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TV 등의 선전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로 LG전자의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s) 사업본부는 6조원대 매출과 8000억원가량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LG전자의 미래 성장 사업인 전장을 담당하는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사업본부 또한 완성차 업체의 수요 회복으로 적자 폭을 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는 2분기 적자 폭을 더욱 줄인 뒤 하반기에는 흑자로 전환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한편 장기간 '아픈 손가락'이었던 휴대폰 사업을 철수하는 효과도 2분기부터 나타날 전망이다. 오는 7월 마그나와 함께 설립하는 합작법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가칭)' 출범도 앞두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LG전자의 올해 영업이익이 최대 4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