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기관 이전 '진통'...근로자 70% "퇴사 고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6 18:06:06
  • -
  • +
  • 인쇄
"일방적인 이전 발표, 직원들 기본권 침해"

"갑작스러운 발표에 나뿐만 아니라 모든 가족이 불안에 떨고 있다."
"도지사가 도민의 민심잡기용으로 던진 돌에 맞는 개구리는 공공기관 종사자"

경기도의 공공기관 이전 발표로 인해 근로자의 70% 이상이 퇴직을 고려하고 있고, 상당수는 불안과 좌절감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발표한 '제3차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 계획'에 대한 진통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일방적인 이전 발표라며 이 지사를 부패행위로 권익위에 신고하는가 하면 해당기관 주변 주민들까지 나서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공공기관노동조합총연맹은 지난달 10일~14일 이전 대상 및 이미 이전이 확정된 경기도 공공기관 9개사 근로자 703명을 대상으로 '경기도 공공기관 이전 기습 발표 따른 공공기관 근로자 실태조사'를 시행했다.

이번 조사에는 근로자들의  고스란히 드러났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의 82.5%가 이전 발표에 반대하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공정성'에 관해 응답자의 87.9%가 공정하지 않다고 응답했으며, 90.7%가 '민주절차'를 위배했다고 응답했다.

이전 대상 공공기관 근로자 A씨는 "한 사람의 거주지를 옮기는 것을 왜 쉽게 생각하느냐"며 "그 어떤 보상을 주어도 옮기고 싶지 않으며, 삶이 송두리째 바뀌는 일이다"고 울분을 토했다.


퇴직을 생각하는 근로자들도 많았다. 전체 응답자의 70% 이상이 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 중 47.5%는 심각하게 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무기계약직(76.4%), 20대(85.5%)와 30대(82.9%) 등 청년 및 취약계층의 퇴사 고려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불안감과 좌절감을 느끼는 근로자들도 상당수 있었다. 응답자의 86.5%가 불안감을 호소했고 85.1%가 이번 발표로 인해 좌절감을 느꼈다고 응답했다.

또 다른 근로자 B씨는 "출퇴근이 불가능한 거리면 주거지를 구해야 하지만 너무나 큰 부담"이라며 "상대적으로 미혼이 많은 말단직은 소득 수준이 매우 낮아 주거지 이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이번 발표가 소통이 부족했다는 의견이 78.6%, 민주적 절차를 위배했다고 보는 의견이 75.9%였고, 공공기관 이전이 지역 균형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75.5%로 절대다수를 차지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