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258만그루 나무 심었다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1-04-05 13:40:09
  • -
  • +
  • 인쇄
나무 한 그루, 연간 35.7g 미세먼지 흡수
▲김해시 지방도1042호선 진례면 클레이아크 주변도로


김해시가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4년동안 258만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2017년부터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을 시작한 김해시는 당초 2021년까지 1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목표 연도보다 1년 앞당겨진 2020년에 258만 그루를 심었다.

여기에 투입되는 비용은 110억원에 달했다. 110억원의 재원은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에 50억7000만원, 도시 숲·입면녹화 등 녹화사업에 42억1800만원, 산지복구·경관녹화 등 조림사업에 18억5800만원씩 투입됐다. 허성곤 김해시장은 100만 그루 나무심기 조기달성을 위해 매년 산림청을 찾아 면담하는 등 발품행정을 펼쳤다.

김해시는 이 여세를 몰아 향후 5년간 500만 그루를 더 심는 5개년 계획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5일 뉴스트리를 통해 밝혔다.

김해시 관계자는 "시장님의 정책 방향은 다양한 환경정책으로 시민들에게 많은 혜택을 드리는 것"이라며 "이런 시장님의 방향을 중심으로 담당 부서만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김해시의 모든 부서가 더 질 높은 도시숲이 되도록 노력하고 사업 계획단계에서부터 함께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김해시 율하2지구 도시숲

김해시 공원녹지과 관계자는 "미세먼지 차단숲은 공원의 개념은 아니다"며 "그러나 미세먼지 저감효과와 공기정화 등 시민분들이 살기 좋은 김해시를 만들어드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구체적으로 시 단위의 채용계획은 아직 없지만, 사업이 확장되면 지역민들의 일자리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 한 그루는 연간 35.7g의 미세먼지를 흡수하며, 도시 숲은 여름 한낮 평균기온을 3~7도 낮춰주고 평균습도를 9~23% 올려줘 미세먼지가 신속하게 지면으로 내려앉도록 하는 천연 공기청정기 역할을 한다.

한편 김해시는 올해부터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이행계획에 발맞춰 오는 2025년까지 1조4693억원을 투입해 나무심기와 가꾸기 등이 포함된 13개 추진과제, 65개 세부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