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50억 부자들의 선거판...박영선vs오세훈 '논란부터 공약까지'

김연수 기자 / 기사승인 : 2021-04-20 17:54:51
  • -
  • +
  • 인쇄
4.7 재보궐선거 공식활동 시작한 후보들
서울과 부산, 모두 부동산으로 이슈몰이
▲ 박영선vs오세훈 '부동산 빅매치'…부동산 논란부터 공약까지 총정리


4·7 재보궐 선거운동이 공식화되면서 여야 모두 상대방의 부동산 이슈를 끈질기게 물고 늘어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는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던 구로디지털단지에서 지난 25일 출정식을 열고 "이명박(MB) 시즌2를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피와 땀과 눈물로 힘겹게 이룬 대한민국 민주주의, 경제민주화, 정의가 후퇴하게 둘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민의힘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도 지난 25일 은평구 응암역에서 가진 첫 유세에서 "이런 '주택 생지옥'을 만들어놓고도 대통령은 한 번도 무릎 꿇고 사죄한 적이 없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오 후보는 동대문구 경동시장으로 자리를 옮겨 "여론조사를 믿지 말라. 지금 박빙"이라고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문재인 정부 정신이 번쩍 들도록 몽둥이로 심판해달라"며 강경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나 박영선과 오세훈 후보 모두 신고된 재산이 50억원이 넘는 부자들이고, 소유한 부동산이 30억원이 넘는다는 점에서 부동산 문제를 심판하는 것이 적절하냐는 지적이 나온다.

박영선 후보는 도쿄 아파트 보유논란이 일자 "팔았다"고 해명했지만 등기부등본에 소유권이 있는 것으로 나오자 "잔금을 아직 치르지 않아서"라고 했다. 

오세훈 후보 역시 소유하고 있는 내곡동 땅이 개발지구로 지정된 것에 대해 논란이 일자 "자신은 몰랐다"고 발뺌했지만 오세훈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시절 그린벨트가 해제됐고 이에 따른 보상금을 챙긴 것으로 드러나 거짓말 논란까지 빚고 있는 상태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서울시장 후보들에 대한 정책공약 검증은 거의 실종된 상태다. 1년짜리 서울시장 선거를 놓고 펼치는 두 후보의 공약은 그야말로 '빌 공(空)'에 불과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두 후보의 부동산 공약과 돌봄 공약 등을 비교해보면 큰 차별점을 찾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뉴스;트리가 두 후보의 공약을 영상으로 비교해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