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접종 시작됐지만...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3개월새 '2배'

김현호 기자 / 기사승인 : 2020-12-16 13:38:13
  • -
  • +
  • 인쇄
전세계 누적 사망자도 164만명...미국은 31만명이나 사망
국내 확진자도 하루 1078명으로 '최대'...정부 "3단계 검토"
영국을 시작으로 미국과 캐나다에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시작됐지만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는 더 빠르게 확산되면서 전세계 확진자수가 7300만명을 넘어섰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16일 오전 1시(현지시간) 기준으로 전세계의 코로나19 확진자수는 7378만4474명이고, 누적 사망자 수는 164만526명이다.

지구촌 인구 77억9000만 가운데 약 0.1%가 코로나19에 감염됐다는 의미다.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유사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한 중증 급성호흡기 질환인 메르스(MERS) 감염환자가 2012년부터 약 6년간 2200명이었다는 사실에 비춰봤을 때, 이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파력은 매우 강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지난 9월말까지만 해도 전세계 누적 확진자수는 약 3500만명 수준이었다. 한동안 주춤하던 확진자수는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력이 강해지는 겨울을 맞으면서 확산세가 가팔라지기 시작했다. 11월 첫주동안 확진자수가 400만명을 기록하더니, 3개월만에 누적 확진자가 2배 늘어난 7300만명을 넘었다.

전세계에서 미국의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 미국은 최근 1주일간 하루평균 21만5000여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16일 누적 확진자수가 1714만3779명에 이르렀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하루평균 2389명이 사망하면서, 이날 누적 사망자수도 31만1068명을 기록했다.

유럽의 상황도 암울하긴 마찬가지다. 유럽 국가 가운데 그나마 방역조치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받는 독일은 지난 11일 하루동안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역대 최대치인 2만8438명이 발생하자, 이달 2일부터 시행했던 부분봉쇄를 16일부터 '전면봉쇄' 조치로 전환했다. 이에 따라 독일은 숙박업소·극장·영화관·체육시설 운영중단에 이어, 그나마 배달과 포장이 허용됐던 식당들마저 문을 닫게 됐다.

이탈리아는 올 한해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가 6만5857명에 달한다. 유럽에서는 최대이며, 전세계적으로는 미국·브라질·인도·멕시코에 이어 다섯번째다. 이에 이탈리아 당국은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하던 '핀셋' 방역조치를 성탄절 연휴 등 일정기간동안 전국을 '레드존'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레드존'이 되면 식료품·의약품 구매 등을 제외하곤 외출할 수 없다.

터키도 코로나19 확산세를 막기 위해 새해연휴 5일간 전국 통행금지를 시행한다. 이미 평일 야간 통행금지와 주만 전면 통행금지 조치를 내린 터키는 현재 하루 확진자수가 2만9617명 수준이며, 누적 확진자수는 186만6345명이다.

국내 상황도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16일 신규 확진자수는 역대 최대인 1078명을 기록하면서 누적확진자수가 4만5442명으로 불어났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이 일평균 608.4명으로 전체의 73.1%를 차지했다. 비수도권은 일평균 224.1명으로 권역별로는 경남권 78.9명, 충청권 58명, 경북권 34명, 호남권 30명, 강원권 16.3명, 제주권 7명 등으로 나타났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16일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한 주간 전국의 하루평균 환자수는 약 833명으로, 거리두기 3단계를 검토할 수 있는 기준인 '800명∼1000명'의 환자수 범위에 진입했다"고 밝혀,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상향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정부는 이를 매우 심중하게 검토하고 있다. 손영래 중수본 전략기획반장은 "상황을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며 "(3단계 상향은) 사회·경제적 피해가 워낙 크고 확실히 효과를 담보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참여가 극대화돼서 응집되는 그런 상황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세계 각국은 백신 접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집단면역 상태에 도달하려면 전체 인구의 70~80%가 백신을 맞아야 해 향후 반년 이상 마스크 착용이나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조치들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SK온-SK엔무브 합병결의..."8조 자본확충해 사업·재무 리밸런싱"

SK온과 SK엔무브가 11월 1일자로 합병한다. 지난 2월 SK온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SK엔텀과 합병한지 6개월만에 또다시 덩치를 키운다.SK이노베이션과 SK

기후/환경

+

따뜻해진 바닷물...해수욕장마다 독성 해파리 '득실득실'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상승하면서 연안 바다마다 해파리가 득실거리고 있다. 이 때문에 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을 찾은 사람들의 피해가 끊이

美 캘리포니아 또 산불…나흘새 5000만평 '잿더미'

미국 캘리포니아 중부 로스파드레스국유림에서 발생한 대형 '기퍼드' 산불이 나흘 사이에 약 160km2를 잿더미로 만들도 계속 확산되고 있다. 주변 지역

폭염으로 쌓인 수증기...무안 1시간 141㎜ '괴물폭우' 낳았다

남부지방에 폭우 피해가 발생한지 보름만에 또다시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에는 무안지역에 집중적으로 폭우가 쏟아졌다. 전라남도

[날씨] 경상권에 '강한 비'...습기 높아 35℃ 후텁지근

월요일인 4일은 서울과 수도권은 비가 소강상태를 보이면서 더위가 한풀 꺾인 모습이지만 남쪽지역은 여전히 흐리고 비가 내리겠다.특히 4일은 경상권

겨울 따뜻해지면...나무의 탄소흡수량 줄어든다

지구온난화로 겨울 기온이 오르면 나무가 탄소를 흡수하는 데에도 지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최근 미국 보스턴대학 연구팀은 기후변화가 토양 온

남극 해저에 332개 협곡 발견…남극 빙붕 녹이는 역할?

남극 해저에 수천미터 깊이의 거대한 협곡들이 촘촘히 분포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과학자들은 이 지형이 해류 흐름과 빙붕 붕괴를 결정짓는 통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