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약 절반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발견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분석한 결과, 55.5%에 달하는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이라고 19일 밝혔다.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며,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제주도에서는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발견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저위도의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발견되는 현상은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라며 "특히 섬 지역은 외래생물들이 처음으로 유입되는 주요 지점이자, 내륙으로 확산되는 중간 관문이기 때문에 정밀한 조사를 통한 생물상 변화 파악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 45종 중 남방가는나방 등 18종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했으며, 나머지 종들도 학술논문 발표 후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할 계획이다.
노승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동물자원연구부장은 "섬에서 새롭게 발견되는 미기록종 곤충 가운데 상당수가 열대 또는 아열대성"라며 "이는 기후변화가 우리나라 생물다양성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신호"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