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보건기구(WHO)가 기후위기를 건강의 문제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보건정책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WHO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기후·보건 5개년 전략(2025~2030)'에서 기후변화를 보건정책의 핵심의제로 올릴 것을 촉구했다. 이번 5개년 전략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약 22억명을 대상으로, 기후위기에 강한 사회·보건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략의 핵심은 △기후 회복력 있고 지속가능한 보건시스템 구축 △건강하고 기후적응적인 도시·섬 환경 조성 △사람과 지구를 위한 지속가능한 식품체계 구축에 뒀다. 기후위기 대응을 의료·도시·식품정책까지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한국은 이미 폭염·미세먼지·감염병 등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체감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에너지 전환이나 보건 인프라의 기후적응 체계는 아직 초기단계다. WHO는 "보건체계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에 있다"고 강조하며, 이러한 대응 역량 강화를 주문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여름(5~7월) 전국 온열질환자는 약 2450명으로, 2018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기상청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폭염일수가 1970년대보다 약 2배 늘었다고 분석했다. 폭염이 일상화된 지금,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보건체계의 재정비가 불가피해졌다.
전문가들은 WHO의 이번 전략이 한국의 기후보건 정책 논의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의료기관의 에너지 효율 개선과 기후취약 지역 건강 모니터링, 부처 간 협력 체계 강화 등이 향후 논의 가능한 과제로 꼽힌다.
기후위기가 심화되는 지금, WHO의 전략은 탄소감축 중심의 기후정책을 넘어 인간의 건강과 복지를 핵심 목표로 삼는 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의 보건정책이 이러한 흐름에 얼마나 발맞출 수 있을지가 향후 5년의 관전포인트가 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