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김혜지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0 11:38:52
  • -
  • +
  • 인쇄
▲미국 캘리포니아 앞바다의 유조선 (사진=AFP 연합뉴스)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17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본부에서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를 열어 해운 부문 탄소가격제(Global Carbon Levy)를 골자로 한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채택 여부를 논의했지만 다수 회원국이 결정에 따라 1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 표면적으로는 1년 연기이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찬성투표를 하는 국가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어, 내년 통과 여부도 불확실한 상황이다.

IMO는 지난 4월 1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열린 제83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MEPC 83)에서 해양오염방지협약(MARPOL) 부속서를 개정해 '넷제로 프레임워크'(Net-Zero Framework) 내 '선박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중기조치 규제'를 공식 승인했다. 이 규제는 오는 2027년부터 5000톤 이상 대형 선박을 대상으로 적용할 예정이었다.

당시 규제의 핵심은 선박이 사용하는 연료의 '온실가스 집약도'(GFI, Greenhouse Gas Fuel Intensity), 즉 온실가스 배출 수준을 기준으로 감축 목표를 정하고 이행 여부를 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달성하지 못한 선박에 대해 그만큼의 '추가 비용(탄소세)'을 부과하고, 목표보다 더 감축한 선박에 대해서는 보상해주는 방식이다.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3%를 차지하는 해운산업은 지금까지 규제 사각지대로 꼽혔다. 그래서 수년간의 논의 끝에 2027년 3월부터 '해운 탄소세' 도입을 합의한 것이다. 또 대형 선박들에 대해서는 2028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7% 감축할 의무가 부과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IMO가 추진해온 이 조치를 '글로벌 탄소세'라고 비난하면서 협약 채택에 찬성투표하는 나라들에게 미국 입항금지, 비자발급 제한, 통상조사, 미국 정부계약 금지 등의 불이익을 주겠다고 협박하자, IMO 회원국들은 이 사안에 대해 며칠동안 논쟁을 벌였다. 결국 규제를 반대하던 사우디아라비아가 '1년 연기안'을 제출했고, 회의 마지막날인 17일에 이 방안에 57개국이 찬성하면서 통과됐다. 반대는 49표였다.

이번 결정에 각국의 입장도 나뉘었다. EU 집행위원회는 "유감스럽다"는 입장을 표명한 반면 미국은 "또 하나의 엄청난 승리"라며 환영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세계 환경단체들은 일제히 반발했다.

미국 환경단체 환경방위기금(EDF)은 "IMO가 지난해 채택한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스스로 약화시켰다"며 "결국 또 한 해를 잃었다"고 비판했다. 유럽 교통·환경 싱크탱크 T&E는 "이번 지연으로 2030년까지 감축률이 최대 10%에 그칠 것"이라며 "2050 탄소중립을 향한 로드맵이 뒤로 밀렸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 기후솔루션도 "탄소시계가 멈췄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IMO는 내년 하반기 회의에서 이 규제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반대하고 있는 이상 실제로 이행될지의 여부는 알 수 없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중소·중견 대상 '우리기업 탄소기업 첫걸음' 이벤트

KB국민은행이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등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기후/환경

+

국제해운 '탄소세' 연기에…기후솔루션 "2050 탄소중립 시계 멈췄다"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첫 탄소세 시장 도입이 최종 문턱에서 불발되자, 기후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

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유엔 산하 국제해사기

지역따라 미세먼지 특성 달라...서울은 '빛반사형' 멕시코는 '빛흡수형'

도시에 따라 대기를 뒤덮은 초미세먼지(PM2.5)의 성분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성분이 많은 반면, 멕시코시

[날씨] 갑자기 닥친 겨울...아침 1℃까지 '뚝' 산간은 첫눈

기온이 갑자기 1℃까지 뚝 떨어지면서 초겨울 날씨를 보이겠다.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찬공기가 남하하면서 아침기온이 2℃까지 떨어지고 강원도 북부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