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재생에너지 무섭게 늘리더니...전력부문 탄소배출량 '역대 최저'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7 15:46:17
  • -
  • +
  • 인쇄
▲ 중국 허베이성에 즐비하게 세워진 풍력터빈 (사진=REUTERS/Tingshu Wang)

올 상반기 중국의 전력부문 탄소배출량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석탄발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높인 결과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올 상반기 중국의 전기 1킬로와트시(kWh)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평균 492g이었다. 중국에서 kWh당 500g 미만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2023년 상반기 탄소배출량 539g/kWh과 비교하면 약 8.7% 감소한 것이며, 지난해 상반기 514g/kWh보다 약 4.3% 줄어든 수준이다. 

중국은 1초당 약 100개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고, 9분마다 풍력터빈 1기를 설치할 수준으로 재생에너지 비중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지난 5월 한달간 추가한 태양광 발전용량만 93GW였다. 태양광 패널 약 2억3000만장을 한달에 설치했다는 것이다. 5월에 설치된 풍력터빈은 약 5300기로, 25GW에 달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에 따르면 5월말 기준 중국의 누적 태양광 발전용량은 1.08테라와트(TW)다. 이는 전세계 태양광 설비용량의 약 절반에 해당한다. 2019년까지만 해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이 약 13%에 불과했던 중국은 매년 이를 약 2%씩 늘리면서 올해 24%까지 끌어올렸다. 24% 가운데 14%가 풍력이 차지할 정도로 풍력발전 비중이 늘었다. 2019년과 비교하면 2배 상승이다. 나머지는 태양광이 6%, 수력이 4%다.

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이 늘면서 화력발전은 상대적으로 쪼그라들고 있다. 2019년 85%에 달했던 화력발전은 현재 75%로 10% 줄었다. 중국에서 원자력 발전비중은 1% 수준에 불과하다.

'전세계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은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34%를 차지할 정도로 '탄소 다배출국'이다. 코로나19 시기에 멈췄던 공장과 건설이 엔데믹 이후에 재개되면서 2023년 6월에 13억톤CO₂까지 배출량이 늘어났다가, 재생에너지 확대와 경기둔화로 올초에 12.2억톤CO₂까지 줄었다. 올 5월까지 12개월 연속 탄소배출량이 감소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2030년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이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2005년 대비 탄소배출량을 65%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2020년부터 2025년까지 18%를 감축해야 했지만 코로나19로 인해 아직 절반도 달성하지 못한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2005년 대비 7.9% 감축에 그쳤다.

이에 중국 정부는 남은 5년동안 10.1%를 감축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비중의 속도를 더 높일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장난감 기부하면 H포인트 증정"

현대백화점이 오는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7일까지 압구정본점 등 전국 점포에서 '플라스틱 장난감 업사이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기후/환경

+

"CCU 기후 해결책 아니다...저장할 지질층 200년 내 고갈"

'탄소포집·저장(CCU)' 기술을 통해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전세계 지질층이 업계 추정치의 10분에 1에 불과하고, 앞으로 20

가뭄에 저수율 13.5% 불과한데...강릉만 비켜가는 '야속한 비'

야속하게도 비가 절실한 강릉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비가 내리고 있다. 강원 내륙에는 최대 20㎜에 달하는 비가 쏟아졌지만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스페인 바르셀로나

중앙아시아 빙하도 남극의 빙산도 '빠르게 줄고 있다'

기후변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계속 상승하면서 견고하기로 소문난 중앙아시아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세계 최대 빙산의 하나로 꼽히는 남극의 '메가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