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中 자연재해로 10조원 경제손실..."7말8초 홍수 위험"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6 11:34:21
  • -
  • +
  • 인쇄
▲ 지난 11일 발생한 폭우로 중국 남동부에서 집이 침수됐다. (사진=AFP)

중국은 올 상반기동안 자연재해로 2500만명이 피해를 입고 주택 3만여채가 완전히 붕괴되면서 약 541억1000만위안(약 10조원)이 넘는 경제손실이 발생했다.

중국 비상관리부는 지난 15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올 상반기 중국에서 지진, 홍수·침수, 산불, 가뭄,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 발생으로 이같은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자연재해로 307명이 목숨을 잃거나 실종됐고, 2503만명이 피해를 입었으며, 62만명이 긴급 이재민이 됐다고 밝혔다. 이에 더해 가옥 2만9600채가 완전히 무너졌고, 34만7200채가 파손됐다. 또 농경지 218만헥타르(ha)의 농작물이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발생한 경제적 손실액은 541억1000만위안(약 10조4667억)에 달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하면 피해액은 줄었다. 지난해는 태풍, 홍수, 가뭄 등 복합재해가 전국적으로 강하게 발생했지만, 올해는 티베트에서 규모 6.8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국지적으로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상반기 중국에서는 자연재해로 3300만명이 피해를 입고, 931억위안(약 18조)의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지난해 경제적 손실은 중국에서 2019년 이후로 발생한 상반기 재난 관련 손실 중 가장 큰 규모였다. 지난해 주택은 올해보다 22% 적은 2만3000여채가 완전히 붕괴됐다.

올해 상반기 중국에서는 자연재해 중 홍수로 인한 피해가 가장 컸다. 션 잔리 대변인은 홍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510억위안(약 9조8650억원)으로 전체 자연재해 손실의 90%이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홍수로 1132만명이 피해를 봤고, 101명이 사망 또는 실종됐으며, 48만200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는 지난 5년간 같은 기간 홍수 피해 평균에 비하면 피해 인구는 66.4%, 경제적 손실은 47.2% 감소한 수치다.

션 잔리 대변인은 "올해 전반적인 홍수 상황은 안정적이지만 국지적인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남부 지역의 재난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7말8초에 북부 지역에 강우량이 집중되면서 양쯔강과 화이허강의 홍수 발생 가능성도 크다"고 말했다. 

중국은 극심한 기상현상으로 인한 위협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 10일 태풍 다나스의 영향으로 중국 남서부 지역 25개강에 폭우가 내리면서 구이저우성의 수치이강 수위가 1953년 기록이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고, 쓰촨성의 샤오차오강 수위는 2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이날 운남성의 한 현에서는 24시간 동안 227.8mm(9인치)의 비가 내렸는데, 이는 1958년 기록이 시작된 이래 하루 강수량으로는 가장 높은 수치다. 운남성 자오퉁시에서는 폭우로 2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2025 그린에너텍' 17일 개막...환경·에너지 기술 한자리에

환경산업 전문 B2B 전시회 '2025 그린에너텍(GreenEnerTEC)'이 오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다.올해 4회째를 맞이하는 그린에너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기후/환경

+

"화력발전 최소발전용량이 재생에너지 가로막아"...공익감사 청구

화력발전을 과도하게 우대한다고 비판받는 최소발전용량과 관련해,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가 제기됐다.기후솔루션과 당진환경운동연합은 3일 서울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태풍 '페이파' 日 향해 북상...강릉에 '가뭄에 단비' 될까?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생성된 열대저압부가 곧 제15호 태풍으로 발달해 북동진한다는 이동경로가 발표되면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을

강릉 저수율 14% 붕괴...제한급수인데 수돗물 사용량이 그대로?

강릉 시민들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3.9%까지 내려갔다. 소방차와 물탱크 차량까지 동원해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고 있지만

"올가을 '라니냐' 발생률 55%"...韓 고온다습한 가을?

올가을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이 55%로 전망됐다.세계기상기구(WMO)는 2일 엘니뇨·라니냐 전망에서 9∼11월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을 55%, 라니냐도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 15.9조...탈탄소와 기후대응에 중점투자

2026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원 가운데 36.4%인 5조8000억원이 기후재난 대응 등 사회안전망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34.5%인 5조5000억원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