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5 08:00:02
  • -
  • +
  • 인쇄
[인터뷰]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가적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요구들이 빗발치고 있습니다. 이에 6월 4일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뉴스;트리가 기후환경 부문에서 사회 각계에서 새 정부에 요구하는 목소리를 담았습니다. [편집자주]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 ⓒnewstree

"새 정부는 화석연료 퇴출에 대한 확실한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김주진 기후솔루션 대표는 새 정부가 기후정책으로 첫번째 해야 할 일로 '화석연료 퇴출'을 꼽으며, 이를 위해 3가지 조건을 제시했다.

첫번째로 '탈석탄'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전세계가 탈석탄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면서 "알바니아, 벨라루스, 가나 등 6개국은 이미 탈석탄을 실현했고 베이징, 캐나다, 영국 등 17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들은 2030년까지 모든 석탄발전소를 폐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2050년 탈석탄을 목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너무 뒤쳐져 있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우리나라도 2040년 이전에 석탄발전을 종식시켜야 하는데 오히려 석탄화력 대기환경오염 방지설비나 초초임계압 발전소 등의 설비에 돈을 투자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한탄했다.

그는 "동해안 지역 석탄화력발전소는 적자인데다 송전망 부족으로 제대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강원도 강릉에서 경북 울진까지 석탄발전소 8기, 원자력발전소 8기가 있지만 수도권으로 전기를 보내는 송전소는 달랑 3곳이라고. 발전 용량은 총 16기가와트(GW)인데 송전 가능량은 11.4GW여서 송전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김 대표는 "동해안에 있는 강릉안인화력발전소와 GS동해전력, 삼척 남부발전 등 세 곳은 가동을 무기한 중단하기도 했다"며 "석탄발전처럼 무겁고 기동성이 떨어지는 발전원이 움직일 공간이 좁아졌다"고 말했다. 따라서 하루빨리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탈석탄을 위한 두번째 조건은 '글로벌 화석연료 공급망 비중 축소'라고 김 대표는 말했다. 즉, LNG산업 의존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는 전세계 화석연료 공급망에서 여전히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전세계에서 두번째로 큰 LNG 수입국이며 파이프라인 가스보다 LNG의 교역량이 더 많다"고 했다. 전세계 LNG 선박 발주량은 매년 줄고 있는데 우리나라 LNG선박량은 2035년까지 45%나 증가할 예정이다.

김 대표는 "새 정부는 LNG 대신 해상풍력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상풍력은 바다, 육지, 전기, 항구 등 여러 부처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대통령이 나서서 국가 단위 리더십을 통해 추진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14.3GW의 해상풍력발전을 보급해야 하지만 현재 계획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해상풍력 발전기 설치를 위한 특수선(WTIV) 등을 통해 매년 1.5~2GW씩 설비를 늘려야 한다. 중국은 해상풍력 설치 선박을 113척을 갖고 있지만 우리는 8척뿐이다. 주류인 15메가와트(MW)급 발전 선박을 최근 두 척 수주했다.

탈석탄을 위한 세번째 조건으로 김 대표는 '화석연료 발전투자 중단'을 꼽았다. 그는 "우리나라는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 기술에 정책금융을 투입하고 있다"면서 "정부 정책금융은 새로운 기술에 투자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고 했다. 특히 '철강' 분야는 화석연료 대체제가 시급하다고 했다. 철강 부문 탄소배출량은 2020년 기준 9327만톤으로, 국가 총배출량의 14.2%를 차지했다. 산업부문 배출량 2억4670만톤의 37.8% 비중이다.

김 대표는 "석탄에서 수소로 철강생산 에너지를 빨리 전환해야 한다"면서 "수소환원제철로의 전환비용은 한전의 화석연료 적자보다 적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국민연금은 2021년 탈석탄 선언을 해놓고 국내 화석연료 사업의 적자를 보전하기 위해 채권을 사들이고 있다"면서 "정책자금을 화석연료에 투자하는 게 아니라 에너지 전환에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솔루션은 '제21대 대통령선거 7대 정책제안'을 통해 국제 철강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2050년까지 23조4000억원~47조3000억원이 소요되는 전환비용을 정부가 지원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대표는 마지막으로 "최소 2040년을 목표로 석탄 발전량을 줄여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가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전력 부문, 산업 부문, 금융 부문에서 어떻게 할지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글로벌 동향에 맞춰 2035년까지 온실가스 60% 감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산불 발생한 강 유역 오염도 103배...오염 8년간 지속된다

폭염으로 인해 세계 곳곳에서 산불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산불이 발생한 지역은 산불 재로 인해 수자원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8일(현지시

벌써 전력사용량 '피크' 찍었다...길어지는 폭염 '블랙아웃' 걱정없나?

한낮 최고기온이 40℃를 육박하는 때이른 폭염에 최대전력 수요가 연일 새로운 기록으로 갈아치우자, 기온이 가장 치솟는 '7말8초' 시기에 전력소비를

도로 잠기고 차 끊기고...퇴근길 '기습폭우' 또 내린다고?

올들어 가장 높은 37.8℃까지 치솟았던 8일 서울은 퇴근길 '기습폭우'에 도로가 물에 잠기는 등 일대 혼란이 발생했다. 이날 기습폭우의 원인으로 '폭염'

인력도 예산도 깎더니...美 텍사스 대홍수 참사에 트럼프 '뭇매'

미국 텍사스 중부를 덮친 기록적 폭우로 111명이 숨지고 160명이 실종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재난 초기 대응과 기상예보 체계 붕괴에 대한 비판이 들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