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분만에 완충되는 차세대 '리튬-황' 전지 개발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12-27 10:33:01
  • -
  • +
  • 인쇄
▲연구내용을 확인하고 있는 DGIST 유종성 교수팀 (사진=DGIST)

12분만에 완충되면서 1000번 이상 재충전할 수 있는 차세대 '리튬-황 전지'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유종성 교수팀은 '리튬-황 전지'의 느린 충전속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소를 첨가한 새로운 다공성 탄소 소재를 활용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리튬-황 전지는 대표적인 이차전지인 리튬이온 전지보다 저장용량이 높고 가격은 저렴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급속충전시 황의 활용도가 떨어지면서 전지 용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어 상용화가 어려웠다. 또 방전 과정에서 황이 분해되며 생기는 '리튬 폴리설파이드'(황화리튬)가 전지 내부를 떠돌며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도 있다.

이에 연구팀은 질소를 포함한 고흑연성·다중다공성 탄소 구조체를 새롭게 합성하고 이를 리튬-황 전지의 양극에 적용했다. 이 탄소 구조체는 구조적으로 더 안정적이고 견고하며, 기존보다 다양한 세공 구조를 형성해 더 많은 황을 담아내고, 황과 전해질의 접촉을 원활하게 만든다.

이번 연구로 개발된 리튬-황 전지는 단 12분만에 완전충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같은 급속충전 환경에서도 705mAh g⁻¹의 높은 용량을 기록했으며, 기존보다 1.6배 더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또 질소가 탄소 표면에 도핑되어 리튬 폴리설파이드의 이동을 억제해 1000회 이상의 충·방전 후에도 82%의 용량을 유지하는 등 뛰어난 안정성을 보였다.

유종성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단한 합성법으로 리튬-황 전지의 충전 속도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이 연구를 기반으로 리튬-황 전지의 상용화가 앞당겨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 지원을 받아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CS Nano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경기도 "기후행동 실천하면 방화복 재활용한 의류·가방 드려요"

일상에서 기후행동을 실천하면 폐방화복을 재활용한 의류와 가방을 받을 수 있다.경기도는 기후행동 이벤트 '방화복의 두 번째 이야기'를 오는 11월 19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서울우유 멸균팩 '알루미늄 뺐다'...재활용 분리배출 가능

멸균팩은 음료를 장기간 보존하기는 좋지만 속지로 사용한 알루미늄 때문에 재활용으로 분리배출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런데 국내에서 처음으

KGC인삼공사 '사내 발명데이' 개최...27건 아이디어 접수

KGC인삼공사가 지난 14일 과천에 있는 R&D센터에서 임직원들의 창의적 아이디어를 장려하기 위한 '정관장 발명왕·발명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2

신한·KB·하나·우리...금융지주, 상반기 ESG평가 S등급 '싹쓸이'

신한금융, 네이버, KB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 KT 등 6개사가 한국ESG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올 상반기 ESG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한국ESG평가원은 지

“CO₂감축만으로 부족해”...구글 '슈퍼 온실가스'까지 감축한다

구글이 이산화탄소를 넘어 메탄과 냉매가스 등 '슈퍼오염물질(super-pollutants)' 감축에 나섰다.20일(현지시간)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구글은 단기

기후/환경

+

열대야가 부른 '수면 위기'…기후변화로 수면패턴 깨진다

열대야가 길어지면서 기후위기가 인간의 수면 패턴까지 흔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여름에 발생하는 열대야는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

스티로폼 미세플라스틱 흡입하면 '폐조직 손상' 유발

스티로폼에서 나오는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유입되면 폐를 손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국가독성과학연구소 이규홍·우종환 박사와 전북대

뉴스트리, 세명대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 지원사업'에 선정

뉴스트리가 세명대학교 저널리즘대학원이 주최한 '2025년도 2차 기후위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에 선정됐다.언론의 기후위기 대응 보도를 장려

WTO "보건정책 핵심의제는 기후위기"...아태지역 국가에 변화 촉구

세계보건기구(WHO)가 기후위기를 건강의 문제로 규정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보건정책의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WHO는 20일(현지시간) 발표한 '기후·

글로벌 은행들 말로만 '화석연료 중단'...실제 투자중단한 곳은 'O'

글로벌 대형은행 가운데 신규 화석연료 생산투자를 중단하겠다고 밝힌 곳은 단 한 군데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22일 영국 정치경제대학(LSE) 글로벌기

멸종위기 담수어 '어름치와 감돌고기' 5000마리 방류

멸종위기종인 어름치와 감돌고기가 금강에 방류됐다.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21일 충남 금산군 금강 상류지역에서 멸종위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