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태풍없는 한해 되려나?…기상청 "아직 안심할 수 없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3 20:07:38
  • -
  • +
  • 인쇄

태풍이 가장 많이 닥치는 8~9월 한반도에 이렇다할 위력을 지닌 태풍이 아직 하나도 상륙하지 않으면서 올해는 태풍이 없는 한해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온다. 하지만 기상청은 "아직 속단하기는 이르다"며 10월 태풍의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23일 현재 올들어 한반도에 직접 상륙한 태풍은 아직 없다. 제14호 태풍 '풀라산'이 온대저압부로 세력이 약화된 상태에서 전라남도 지역에 도달해 역대급 폭우를 쏟아부었지만 태풍의 위력을 보이지는 않았다. 지난달 9호 태풍 '종다리'와 10호 태풍 '산산'의 영향으로 남부지방에서 비가 오기도 했지만 이 역시 직접적인 피해라고 할 수 없다.

이처럼 태풍이 직접 상륙하지 않은 것은 2017년 이후 7년만이다. 최근 30년동안 10월에 한반도를 향한 태풍이 0.1개였던 점을 감안하면 7년만에 태풍없는 해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통상 8월과 9월에 태풍이 가장 많이 발생했다. 8월에 평균 1.2개, 9월에 0.8개가 한반도에 직접 상륙하면서 영향을 미쳤다. 기상관측 사상 최악의 태풍으로 알려진 1959년 '사라'와 2003년 '매미' 모두 9월에 한반도를 강타했다. 특히 올해는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가 역대급으로 높아져 태풍의 세력이 강해질 수 있는 여건임에도 태풍은 한반도를 모두 피해갔다.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 상공에서 버티고 있는 강력한 고기압 세력 때문이었다. 대기 상층부에 자리한 티베트고기압과 하층부의 북태평양고기압 때문에 역대 최장기간 폭염과 열대야가 이어졌지만, 태풍의 북상을 막아냈다. 한반도를 향해 일직선으로 북상하던 태풍 종다리도 이층구조의 고기압에 밀려 발생한지 48시간도 안돼 충남 서산 남서쪽 150㎞ 부근에서 소멸해 버렸다. 

한반도로 진격하지 못한 태풍은 대부분 일본이나 중국으로 우회했다. 제5호 태풍 '마리아'부터 제10호 태풍' 산산'에 이르기까지 고기압에 밀려 일본 쪽으로 향했고, 필리핀과 중국 베트남에 큰 피해를 준 제11호 태풍 '야기' 등도 처음 진행 방향과 다르게 중국 쪽으로 꺾였다. 고기압 층을 뚫지 못해 한반도 남쪽에서 좌우로 갈린 것이다.

이처럼 태풍 방패막이 역할을 하던 고기압이 물러나면서 우리나라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찬공기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많이 내려간 상태다. 가을 정체전선이 한반도 남쪽에서 많은 비를 뿌릴 수 있었던 것도 고기압이 물어난 탓이다. 이는 앞으로 발생하는 태풍이 한반도로 진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는 의미다. 2019년 10월에도 태풍 '미탁'으로 많은 피해가 발생한 적이 있다.

이에 기상청 관계자는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가 높아 태풍 발달 가능성이 높고, 태풍의 북상을 막아주던 고기압들이 약화된 상태라 태풍 상륙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까지 태풍으로 발달할 수 있는 열대저압부는 아직 관측되지 않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