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에게 억지로 벌레 먹인 美 교사…"지구 구하려면 이게 정답"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3-22 11:52:53
  • -
  • +
  • 인쇄
▲식용 곤충, 기사와는 무관한 사진(사진=연합뉴스)

환경운동가이기도 한 중학교 교사가 학생들에게 강제로 벌레를 먹게 해 논란이 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데일리 미러, 폭스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유타주 네보의 중학교 교사 킴 커틀러는 기후변화에 관한 과제의 일환으로 "세상을 죽이는 소로부터 지구 환경을 구해야 한다"며 학생들에게 식용 곤충을 먹였다.

수업에 참여했던 학생에 따르면 커틀러는 기후변화에 대한 과제로 아이들에게 벌레를 먹게 했으며 다른 방법이 없냐는 학생들의 호소에도 이를 강요했다. 뒤이어 벌레를 먹은 학생들에게 '왜 미국인은 벌레를 먹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작성하게 했다.

커틀러는 학생들에게 소가 메탄가스를 방출해 오존층을 공격하기 때문에 주요 단백질 공급원을 소 대신 곤충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도록 강요했다.

한 학생의 어머니인 아만다 라이트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내 아이가 세뇌의 대상이 됐다"며 "다른 의견을 내려고 하면 커틀러는 '정답은 오직 하나'라고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그녀가 공개한 녹취록에서 커틀러는 "벌레가 역겹고 먹고 싶지 않다는 것은 안다"면서도 "하지만 우리는 벌레를 먹어야만 한다, 우리가 소와 가축을 기르면서 세상을 죽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는 소를 없앨 뿐만 아니라 우리 땅의 많은 부분이 소를 기르는 데 사용되지 않도록 벌레를 먹어야 한다"라고 설득했다.

커틀러의 주장은 일부 맞다. 최근 미국 뉴욕의 컬럼비아대학 연구에 따르면 식품부문 탄소 배출의 75%가 소 등의 반추동물 가축과 논에서 나오는 식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94가지 주요 식품 유형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각각 분석한 결과 육류, 유제품, 쌀을 '3대 온실가스 배출원'으로 지목했다. 이 식품들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이 식량 시스템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에 최소 19%씩 기여한다는 것이다.

특히 소와 양 등 반추동물은 한번 삼킨 먹이를 게워내 다시 씹는 되새김질 과정에서 메탄을 대거 내뿜는다. 메탄은 이산화탄소에 비해 약 20배 이상 온실효과가 커 기후변화 주범으로 꼽힌다. 한 연구에 따르면 소 네 마리가 방출하는 메탄의 온실효과가 자동차 한 대의 배기가스와 맞먹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게다가 가축을 먹이기 위한 막대한 양의 농작물 생산 및 운반, 축산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도 만만치 않아 일부 환경운동가들은 지구 환경 개선을 위해 소고기를 비롯한 육식 문화를 타파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2021년에는 환경운동가이자 채식주의자들이 호주 멜버른에 위치한 KFC 매장에 침입해 가짜 피를 뿌리는 등 과격한 시위를 벌이는 소동이 일기도 했다.

다만 미국 하트랜드 연구소 제임스 테일러 박사는 이같은 채식주의자와 환경운동가들의 극단적 시위에 대해 "하나의 관점일 뿐"이라며 "환경오염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원인과 연결돼 있는데, 벌레를 먹는 게 어떻게 유일한 정답이겠느냐"라고 꼬집었다.

한편 커틀러는 논란이 거세지자 "누구에게도 해를 끼치려는 의도는 아니었다"라면서 학생들에게 충식을 강요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현재 학교 홈페이지에는 커틀러의 교사 사진과 이름이 삭제된 상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비행기 탄소배출 막대한데...항공업계 탄소감축 '뭉그적'

항공산업은 전체 탄소배출량의 2~3%를 차지할 정도로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대표적인 운송수단으로 꼽히고 있지만, 이를 해결하려는 항공업계의 미온

삼성 '갤럭시S25' 美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 수상한다

삼성전자가 자사의 '갤럭시S25'가 북미 재활용산업협회 ReMA(Recycled Materials Association)가 수여하는 '2025 ReMA 재활용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한다고 7일 밝혔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거래제의 구멍?...탄소 줄고 독성물질 40% 증가

탄소배출권 거래제가 온실가스 감축에는 기여했지만 예상치 못한 또다른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허점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한국과학기술원(

"보험료 산정 어쩌나?"...美 NOAA, 기후손실액 추산 '올스톱'

미국의 국립해양대기청(NOAA)이 기후재난에 의한 손실액을 더이상 추산하지 않을 전망이다.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미국 상무부 산하기관으로, 일일 기

미국이 침몰한다?..."3380만명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

미국인 3380만명이 침몰하는 땅에 살고있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국 콜롬비아대학 레너드 오헨헨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에

무서운 '산불 연기'...美 15년간 1만5000명 사망

기후위기로 산불이 빈번해지면서 미국에서 매년 수천명이 사망하고 수십억달러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최근 발표된 니콜라스 나시카스 하버드대

지구온난화 책임은 '부유층'…상위 10%가 온난화 영향력 65% 차지

1990년 이후 세계 상위 10% 부유층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절반이 훨씬 넘는 6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국제응용

기후재난 피해는 젊은세대의 몫..."15억명이 폭염에 노출될 수도"

지구온난화가 심해질수록 젊은세대들은 폭염과 홍수, 가뭄, 산불, 흉작 등의 기후재난을 겪을 위험성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7일(현지시간) 벨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