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핵 날리자"…'트럼프의 불장난' 사실이었다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3 12:13:46
  • -
  • +
  • 인쇄
존 켈리 전 비서실장 후일담 공개
"대북 선제타격 비공개 논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 대통령이 재임시절 북한을 핵무기로 공격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선제타격 하는 방안을 비공개회의에서 제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NBC방송은 12일(현지시간) 2020년 출간된 '도널드 트럼프 대 미국'(Donald Trump v. the United States)의 저자 마이클 슈미트(Michael Schmidt)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펴낸 후기를 입수해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이 후기에는 2017년 7월부터 2019년 1월까지 트럼프 행정부 백악관 비서실장을 지낸 존 켈리(John Kelly)의 재임기 활동 면면이 상세하게 담겼다.

슈미트의 후기에 따르면 북한 핵무기 공격에 대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발언은 지난 2017년 켈리 전 비서실장이 취임한지 8일 만에 나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당시 '화염과 분노'(fire and fury)라는 발언으로 잘 알려진 호전적 태도를 내비치고 있었다. 그는 그해 9월 유엔 총회 연설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칭하며 북한의 미사일 시험 등 도발이 계속되면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협박하기도 했다.

그러나 켈리 전 비서실장이 실제로 고민하는 사안은 오히려 보이지 않는 다른 곳에 있었다고 슈미트는 강조했다.

슈미트는 "켈리가 (트럼프 전 대통령의) 트윗(개인 소셜미디어 게시글)보다 두려워했던 건 트럼프 대통령이 전쟁을 하고 싶은 것처럼 대통령 집무실 안에서 비공개로 계속 얘기했다는 사실이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트럼프가 '자신이 북한을 겨냥해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조치를 취한다면 행정부는 책임을 피하기 위해 다른 누군가를 탓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하며 대북 핵무기 사용 구상을 무신경하게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슈미트에 따르면 켈리 전 비서실장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여러 이유를 들어 그런 행위가 있어선 안된다고 설득하려 노력했다. 켈리 전 실장은 당시 "우리 소행으로 지목되는 것을 막기는 힘들다"고 트럼프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어 군 최고 지도자들까지 백악관으로 불러 모아 미국과 북한 사이 전쟁이 얼마나 쉽게 벌어질 수 있고 그로 인한 피해가 엄청나다고까지 설명했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을 수 있는지는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슈미트는 전했다. 당시 한국과 미국에서는 대북 선제타격시 한반도에서 발생할 한국과 미국 군인, 민간인의 인명피해 규모 추산치가 주목받은 바 있다.

슈미트는 켈리 전 실장이 경제적인 후폭풍이 있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해 겨우 트럼프의 관심을 붙들 수 있었다고 썼다. 그는 "트럼프는 그 뒤에 또다시 전쟁이 가능하다는 태도로 돌아와 한때 켈리에게 북한을 선제타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 무렵 북한의 구두 도발에 맞서 핵위협을 시사하는 듯한 발언을 공개적으로 한 바 있다. 그는 2018년 1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북한 김정은이 자기 책상에 핵버튼이 항상 있다고 방금 말했다"며 "나도 핵 버튼을 가지고 있고 김정은보다 훨씬 크고 강력한 데다가 실제 작동하기도 한다고 누가 좀 알려주라"고 말했다.

슈미트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비공개 발언들이 북한 정보원에게 흘러갔을 가능성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친구나 지인들에게 북한에 무력을 사용하기를 얼마나 원하는지에 대해 보안 장치도 없는 전화기로 얘기했다는 점에 백악관 보좌진이 경악했다고 전했다.

슈미트는 "켈리는 트럼프에게 친구들과 기밀을 공유해선 안 된다는 점을 알려줬어야 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삼성전자-삼성물산, 혈액으로 암 조기진단 美기업에 1.1억불 투자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 채취만으로 암을 조기 진단하는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Grail)'에 16일(현지시간) 1억1000만달러를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기후/환경

+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탄소감축과 자연회복 동시 추진...UNEP, 개도국에 1억불 투입

유엔환경계획(UNEP)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한 1억달러 규모의 국제 프로그램을 출범했다.16일(현지시

[주말날씨] 비온 후 '쌀쌀'...서울 기온 5℃까지 '뚝'

이번 주말에 또 비소식이다. 이 비가 그치고 나면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추워지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비는 17일 저녁 서쪽부터 내리기 시작해 밤사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호주 열대우림, 탄소흡수원에서 '배출원' 됐다

기후가 점점 더 고온건조해지면서 탄소 흡수원인 열대우림이 역으로 탄소를 배출하는 기이한 현상이 나타났다.15일(현지시간) 호주 연구진은 호주 퀸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