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ESS' 미국과 독일 급성장하는데...국내에선 '그림의 떡'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03-24 12:15:20
  • -
  • +
  • 인쇄
화재위험 대비해 별도공간에 설치 필수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선 설치할 수 없어
▲ LG에너지솔루션 가정용 ESS


가정에서 태양광으로 만든 전기를 사용하고 비축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가 국내 시장에서는 걸음마도 떼지 못하고 있다. 아파트같은 공동주택은 설치할 공간이 없는데다 ESS에 대한 제도적 기반도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는 가정용 ESS는 화재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주택과 분리된 설치공간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 주거시설 대부분은 아파트나 빌라같은 공동주택들이다. 아파트 안에는 주거공간과 분리돼 ESS를 설치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보편화되기 어려운 환경이다.

실제로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에 판매한 가정용 ESS 'RESU 10H(R타입)'는 화재사고로 대량 리콜조치됐다. 이 제품도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했다. 이 때문에 가정용 ESS를 많이 사용하는 미국은 배터리의 화재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주택과 격리된 공간에 설치하도록 제도화하고 있다.

마당이나 개별주차장이 없는 공동주택에서는 가정용 ESS 장비가 '그림의 떡'인 셈이다.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2019년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수는 약 1400만가구로, 전체 주택의 77.2%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아파트에 거주하는 가구는 1128만7000호에 달했다. 태양광을 설치한 가구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가정용 ESS 수요가 없는 이유다. 국내 태양광 설치 가구수는 2019년 기준 38만730가구였다. 

반면 유럽과 북미에서는 가정용 ESS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내비건트 리서치(Navigant Research)는 전세계 가정용 ESS 시장이 2019년~2024년 연평균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국가들은 마당 여유공간에 ESS를 설치할 수 있는 단독주택 거주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값싼 전기요금도 ESS 시장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ESS를 연구하는 어피니티에너지의 김태형 연구원은 "우리나라 전기료가 너무 싸다"며 "가정용 ESS 장비의 가격은 비싸고 전기값은 싸기 때문에 설치해도 경제성이 별로 없다"고 말했다. 1대당 600만~700만원하는 가정용 ESS를 설치했는데 이 장비에 저장된 잉여전력을 한전에 팔아봐야 푼돈 수준이다. 15년마다 장비를 교체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우리나라 전기요금은 전국이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미국과 독일 등은 지역별 전기요금이 큰 차이가 있다. 도시와 떨어져 있는 지역이거나 전기요금이 비싼 지역은 태양광 발전설비와 더불어 가정용 ESS를 설치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김태형 연구원은 "도시마다 전기료가 다르고 발전소와 떨어져 있는 거리에 따라 전기료가 달라지는 나라에서는 ESS 수요가 많다"면서 "가정용 ESS를 운영하는 것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국내 시판되는 제품도 거의 없다. LG에너지솔루션은 가정용 ESS 장비를 2010년부터 북미지역에서 판매한 이후 유럽과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등지로 판로를 확대하고 있다.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이 출시한 가정용 ESS 제품은 전기를 최대 17.2킬로와트시(kWh)까지 저장할 수 있다. 1개의 배터리 셀당 4.3kWh가 저장되고, 제품에 기본으로 2개의 셀이 설치돼 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17.2kWh면 전기를 많이 쓰는 가구 기준 하루 전력량의 절반을 충당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4인가구 평균 전기사용량은 20~30kWh다. 이어 이 관계자는 "화재 위험성에 대비해 실시간 배터리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기능도 지원한다"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는 가정용 ESS 수요가 없다보니 관련 제도나 지원책도 없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10kWh이하 가정용 ESS 장비 보조금으로 연간 총 4800만달러(약 586억원)를 지원하고 있다. ESS 업계 관계자는 "가정용 ESS 설치비 지원 등 정부지원이 이뤄진다면 시장이 열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화재의 위험에 대비해 안전장치 마련을 위한 제도도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셀트리온제약 임직원, 청주 미호강서 플로깅 캠페인 진행

셀트리온제약은 28일 충북 청주 미호강에서 플로깅(Plogging) 캠페인 '셀로킹 데이(CELLogging Day)'를 진행했다고 밝혔다.플로깅은 '이삭을 줍다' 뜻의 스웨덴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자사주 없애기 시작한 LG...8개 상장사 "기업가치 높이겠다"

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

쿠팡, 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확대 나선다

쿠팡이 중증장애인 e스포츠 인재 채용을 확대한다.쿠팡은 한국장애인개발원,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과 중증장애인 e스포츠 직무모델 개발과 고용 활성

[ESG;스코어] 공공기관 온실가스 감축실적 1위는 'HUG'...꼴찌는 어디?

공공부문 온실가스 감축실적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감축률이 가장 높았고, 보령시시설관리공단·목포해양대학교·기초과학연구원(IBS)

LG전자 신임 CEO에 류재철 사장...가전R&D서 잔뼈 굵은 경영자

LG전자 조주완 최고경영자(CEO)가 용퇴하고 신임 CEO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이 선임됐다.LG전자는 2026년 임원인사에서 생활가전 글로벌 1위를 이끈

기후/환경

+

'CCU 메가프로젝트' 보령·포항만 예타 통과...5년간 3806억 투입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탄소포집·활용(CCU) 실증사업 부지 5곳 가운데 2곳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쓰레기 시멘트' 논란 18년만에...정부, 시멘트 안전성 조사

시멘트 제조과정에서 폐기물이 활용됨에 따라, 정부가 소비자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시멘트 안전성 조사에 착수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환경단체,

해변 미세플라스틱 농도 태풍 후 40배 늘었다...원인은?

폭염이나 홍수같은 기후재난이 미세플라스틱을 더 퍼트리면서 오염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현지시간) 프랭크 켈리 영국 임페리얼 칼리

잠기고 무너지고...인니 수마트라 홍수와 산사태로 '아비규환'

몬순에 접어든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들이 홍수와 산사태로 역대급 피해가 발생했다.28일(현지시간) 가디언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수마트라섬에

현대이지웰, 멸종위기 '황새' 서식지 조성활동 진행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지난 26일 충청북도 청주시 문의면 일대에서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무논 조성 활동을 전개

[주말날씨] 11월 마지막날 '온화'...12월 되면 '기온 뚝'

11월의 마지막 주말 날씨는 비교적 온화하겠다. 일부 지역에는 비나 서리가 내려 새벽 빙판이나 살얼음을 조심해야겠다.오는 29∼30일에는 우리나라에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