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탄소 우주비행 가능해지나..."전기차 배터리로 청정 로켓연료 생산가능"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2-25 13:09:43
  • -
  • +
  • 인쇄
美연구진 '암모니아 보란' 연료로 로켓발사 가능 입증
"탄소배출없고, 상온보관 가능하고 에너지효율 높아"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청정 로켓연료를 개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UCR) 연구진은 전기자동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물질인 '암모니아 보란'(ammonia borane)으로 무탄소 우주비행 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암모니아 보란은 현재 전기자동차에 동력을 공급하는 연료전지에 수소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UCR 연구진은 이 붕소와 수소의 조합으로 로켓과 인공위성을 발사할 방법을 개발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로켓연료는 탄화수소연료로, 환경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탄화수소연료는 토양을 오염시키고 암을 유발하며 산성비, 오존층 파괴 그리고 이산화탄소와 같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배출문제 외에도 일부 로켓연료는 냉동상태로 보관해야 한다. NASA는 밀도가 매우 낮은 액화수소를 사용하는데, 이 연료는 극저온에서 보관해야 하고, 보관을 위해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암모니아 보란'을 로켓연료로 사용하면 에너지효율이 높고 비용이 낮으며, 냉동 저장할 필요가 없는 등 기존 연료보다 여러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 보란은 연소할 때 양성화합물인 산화붕소와 물을 배출하므로 환경오염이 거의 없다. 또 탄화수소연료와 비교했을 때 암모니아 보란은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한다. 같은 비행에 더 적은 전력을 사용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암모니아 보란은 실온보관이 가능하고, 고열에도 강해 냉동보관이 필요하지 않다.


▲암모니아 보란의 모델 (사진=캘리포니아대학 리버사이드)


원래 암모니아 보란 분해는 고유한 화학적 성질로 인해 대부분의 산화제와 반응시 총 에너지방출을 방해한다는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연구진은 암모니아 보란의 분해 및 산화 메커니즘을 변화시키는 산화제를 발견해 총 에너지 추출에 성공했다.

연구 공동저자인 판카지 길디얄 UCR 화학연구원은 "이는 촉매변환기를 사용해 탄화수소연료를 완전히 연소시키는 것과 유사하다"며 "여기서 촉매의 필요 없이 산화제 자체의 화학작용만으로 화학물질을 연소하고 전체 반응 에너지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매우 습한 환경에서 한달에 걸쳐 분해되는 나노 크기의 암모늄 보란 입자를 만들어냈으며, 현재 다양한 크기의 암모늄 보란 입자가 여러 환경에서 노화되는 방식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습한 조건에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보호 코팅으로 연료 입자를 캡슐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의 제1저자 프리트위시 비스워스 UCR 화학공학자는 "적절한 조건 하에서 암모니아 보란이 전기자동차 외에도 로켓을 작동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했다"고 밝히며 청정로켓연료에 대한 기대를 드러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물리화학C저널(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C)에 실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기후/환경

+

강릉, 식수고갈 직전에 '숨통'...바닥난 상수원 하류의 물로 '콸콸'

강릉 시민들의 상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9%까지 떨어져 계량기를 75%까지 잠그는 제한급수를 시작하려던 찰나에 하류 남대천의 물을 저수지

바다의 포식자 '상어의 위기'...이빨이 사라질 수 있다

해양 산성화로 인해 상어의 이빨이 사라질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독일 하인리히 하이네대학 막시밀리안 바움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산성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英 141년만에 가장 더운 여름…10년새 평균기온 1.54°C 상승

영국은 올여름 10년전에 비해 평균기온이 1.54℃ 상승하면서 1884년 기상관측 이래 가장 더운 여름을 기록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영국 기상청은 지난 2

산림벌채로 20년간 열대지방 50만명이 사망...왜?

지난 20년간 벌채 등 토지개간으로 국지적 기온이 상승하면서 열대지방에서 50만명이 사망했다고 연구결과가 나왔다. 숲이 사라지면서 기온이 오르고

토양 미생물에서 '슈퍼박테리아' 잡을 항생물질 발견

일반 항생제가 듣지 않는 '슈퍼박테리아' 황색포도알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이 발견됐다.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이 자생 방선균 '스트렙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