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는 안보위기"...美육군 2030년까지 온실가스 50% 감축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2-09 14:04:43
  • -
  • +
  • 인쇄
바이든 행정명령에 美 육군 '기후전략' 발표
친환경 국방전략으로 기후대응력 향상목표
▲미국 캘리포니아주 포트 어윈(Fort Irwin)에 위치한 국립훈련센터(National Training Center)에서 통신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미 육군 특전부대원 (사진=미 육군)


미 육군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절반으로 줄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기후전략'을 처음 공개했다. 기후위기가 곧 안보와 직결돼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마련된 이 전략은 친환경 국방전략이다.

8일(현지시간) 미 육군은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린 행정명령에 부응해 이같은 전략을 발표했다. 행정명령은 대통령이 행정부에 대한 지시사항을 조문형태로 명령해 정책을 실현하는 수단이다. '기후전략'에 따라 미 육군은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50% 감축하고, 2050년 '넷제로'(Net-zero)에 도달할 계획이다.

지난해 미국의 국가전략 싱크탱크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는 중앙정보국(CIA), 연방수사국(FBI) 등 미국의 18개 정보기관 정보를 취합해 평가·분석한 '국가정보판단서'(NIE)를 발행했다. NIE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지정학적 갈등이 확대되면서 미국의 국익에 직접적인 위해를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미군은 수년간 기후위기가 빚은 기상이변으로 군사기지에 직접적인 타격을 입었다. 2018년 미국을 강타한 대형 허리케인 플로렌스는 캘리포니아주 북부에 위치한 미군기지 캠프 레준(Camp Lejeune)에 35억달러(약 4조1845억원) 규모의 피해를 입혔다. 미국 네브라스카주의 오펏 공군기지(Offutt Air Force Base)는 2019년 홍수로 5억달러(약 5977억원)의 피해액이 발생했다.

이번 미 육군은 '기후전략'에 포함된 행동지침은 미군의 제반시설의 기후적응력을 높임으로써 미군의 회복력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골자로 한다. '회복력 있는 탄력적인 에너지 및 물 공급',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 없는 전력효율체계' 계획 등이 여기 속한다.

미 육군은 2024년까지 950개 재생에너지 사업과 25개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마이크로그리드는 분산 에너지원을 수용해서 소규모 단위로 에너지의 공급과 수요를 관리하는 지역 전력망이다. 2035년까지 미 육군은 마이크로그리드를 전체 육군시설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 2035년까지 전술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을 전동화시켜 온실가스 배출과 대기오염을 줄이기로 했다.

인프라 관리 외에도 미 육군은 적어도 2028년까지 육군 간부개발 및 직무훈련에 기후변화 주제를 포함할 예정이다.

크리스틴 워머스(Christine Wormuth) 미 육군장관은 성명을 통해 "기후변화가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고, 전략·지정학적 판도를 바꿔놓고 있다"면서 "현재 우리 군은 극한의 기온에서 작전을 수행하고, 산불과 싸우고, 수해복구를 돕고 있다"고 밝혔다. 또 "기후변화는 먼 미래가 아닌 당장의 현실"이라며 "대응할 시간은 지금뿐"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KB국민은행, 중소·중견 대상 '우리기업 탄소기업 첫걸음' 이벤트

KB국민은행이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등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기후/환경

+

"담배필터 금지해야"...유해물질 못거르고 미세플라스틱만 흡입

담배 필터가 정작 유해물질을 거르는 기능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미세플라스틱만 인체로 흡입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최근 영국 중독연구협회 학술지

"종량제 이것 넣으면 과태료 100만원"...분리배출 '가짜뉴스' 판친다

'10월부터 종량제봉투 단속이 강화된다', '10월부터는 라면봉지 씻지 않고 버리면 10만원 과태료' 등 생활폐기물 분리배출과 관련해 유튜브에 가짜정보

녹색전환연구소 'RE100' 첫걸음...상반기 전력사용분 REC 구매

녹색전환연구소가 RE100 달성을 위해 올 1~7월 사용한 전력만큼 '재생에너지 인증서'(REC)를 구매했다고 20일 밝혔다. 8~12월 사용분은 내년 상반기에 추가

국제해운 '탄소세' 연기에…기후솔루션 "2050 탄소중립 시계 멈췄다"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첫 탄소세 시장 도입이 최종 문턱에서 불발되자, 기후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

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유엔 산하 국제해사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