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이 얼마나 많길래...美억만장자 10명 '부유세'가 322조원

나명진 기자 / 기사승인 : 2021-10-27 11:27:42
  • -
  • +
  • 인쇄
자산 1위 머스크가 58조원...자산 2위 베이조스 51조원
민주당 상원, 美 수퍼부자 대상 '부유세' 법안 발의 채비
▲미국 최고의 갑부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 (사진=연합뉴스)


미국에서 '부유세'가 실행되면 억만장자 10명에게 2760억달러(약 322조원)의 세금을 추가로 거둘 수 있다. 이는 전체 부과되는 부유세의 절반에 해당한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최고부자인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는 500억달러(약 58조원)를 내야 한다. 10명의 억만장자가 내는 부유세의 18%를 머스크가 부담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머스크는 테슬라 주식 급등에 힘입어 순자산이 362억달러(약 42조2200억원) 늘어난 2890억달러(337조원)에 달하고 있다. 자산 2위인 제프 베이조스와의 격차도 더 벌어졌다. 베이조스의 자산은 1930억달러(약 225조원)로, 머스크보다 1000억달러가 작다.

자산 2위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부유세로 440억달러(약 51조원)를 내야 하고, 페이스북 창업자 마크 저커버그와 구글 공동창업자 래리 페이지는 290억달러(약 33조원), 워런 버핏은 250억달러(약 29조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는 190억달러(약 22조원)를 세금으로 추가 부담해야 한다.

민주당 론 와이든 상원의원이 조만간 '부유세'를 발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와이든 의원이 발의할 법안은 주식과 채권 등 자산의 미실현 이익에 대해서도 최소 20%의 세율을 적용하는 것을 담고 있어서 일부 억만장자들을 겨냥한 징세 성격이 강하다. 

와이든 의원은 "간호사와 소방관들이 매번 임금을 받을 때마다 세금을 내는 것처럼, 임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세금을 내지 않은 억만장자들도 그들의 몫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할 것"이라며 조세 정의를 강조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를 통해 "그들이 다른 사람들의 돈을 다 쓰고 나면, 그들은 당신에게 손을 뻗칠 것"이라며 이번 조치에 강하게 반발했다.

하지만 데이비드 비즐리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은 억만장자들을 향해 '통큰 기부'를 하라고 조언했다. 그는 26일(현지시간) CNN방송 인터뷰를 통해 기후변화와 코로나19 팬데믹 그리고 전쟁 등의 악재가 겹치면서 전세계적으로 굶주림 등 위기에 처해있는 4200만명을 도와주는데 필요한 자금은 60억달러(약 7조원)라고 강조했다.

머스크의 자산은 2870억달러(약 335조원), 베이조스는 1960억달러(약 229조원)에 비춰봤을 때 비즐리 총장이 제안한 60억달러는 머스크 순자산의 2%, 베이조스 순자산의 3% 정도에 불과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삼성전자-삼성물산, 혈액으로 암 조기진단 美기업에 1.1억불 투자

삼성물산과 삼성전자가 증상이 없는 사람의 혈액 채취만으로 암을 조기 진단하는 미국 생명공학 기업 '그레일(Grail)'에 16일(현지시간) 1억1000만달러를

[현장&] "아름다운가게 지역매장은 왜 소비쿠폰 안돼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옷정리를 한다. 여름내내 입었던 옷들을 옷장에서 꺼내 상자에 집어넣고, 상자에 있던 가을겨울 옷들을 꺼내서 옷장에 하나씩 정

기후/환경

+

"70억달러 태양광 보조금 내놔!"...美 22개주 연방정부 대상 소송

트럼프 행정부가 70억달러 규모의 태양광발전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자, 미국 22개 주에서 이를 막기 위한 소송을 제기했다.16일(현지시간) 롭 본타 미국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탄소감축과 자연회복 동시 추진...UNEP, 개도국에 1억불 투입

유엔환경계획(UNEP)이 개발도상국의 기후변화 대응과 생물다양성 보전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한 1억달러 규모의 국제 프로그램을 출범했다.16일(현지시

[주말날씨] 비온 후 '쌀쌀'...서울 기온 5℃까지 '뚝'

이번 주말에 또 비소식이다. 이 비가 그치고 나면 기온이 뚝 떨어지면서 추워지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비는 17일 저녁 서쪽부터 내리기 시작해 밤사

기후변화에 위력 커진 태풍...알래스카 마을 휩쓸었다

미국 알래스카 해안이 태풍 할롱에 초토화됐다. 폭풍으로 1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됐으며 1500명 이상의 마을 주민이 이재민이 됐다.15일(현지시간) 알

올여름 52년만에 제일 더웠다...온열질환자 20% '껑충'

1973년 이후 가장 더웠던 올여름 온열질환자 수가 작년 대비 약 20% 증가했다. 2018년 이후 두 번째로 많은 수준이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5월 15일부터 9월 2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