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 8개 계열사가 자사주 소각, 추가 주주환원 등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계획을 28일 일제히 발표했다.
이날 LG그룹은 ㈜LG,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 LG그룹 8개 상장사가 올해 자사주 5000억원 규모를 소각하기로 한 계획을 예정대로 이행하며, 내년에도 자사주 소각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각 사가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의 실제 실행 내역과 향후 로드맵을 구체화해 투자자와 시장에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기업가치 제고계획의 주요 내용에는 △자사주 소각 △배당정책 개선 △추가 주주환원 등이다.
㈜LG는 보유하고 있는 약 5000억원 규모의 자사주 가운데 2500억원 규모(302만9580주)를 올 9월 소각 완료했다. LG전자,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등도 올해 총 25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연이어 소각했다. 내년에는 ㈜LG가 상반기 내에 2500억원 규모의 잔여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고, LG전자도 잔여 자사주(보통주 1749주, 우선주 4693주) 전량을 주총 승인을 거쳐 소각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 역시 2027년까지 2000억원 규모의 보통주와 우선주를 전량 소각할 방침이다.
배당성향도 확대한다. ㈜LG는 최소 배당성향을 기존 50%에서 60%로 10%포인트(p) 상향키로 한 계획에 따라 지난해 별도 조정 당기순이익 기준 배당성향 76%를 달성했다. LG전자는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의 25% 이상을 배당한다는 정책에 맞춰 배당금액을 지난 2023년 1449억원에서 2024년 1809억원으로 확대했으며, 올해는 약 900억원을 중간배당하는 등 배당 규모를 늘려오고 있다.
LG이노텍은 점진적인 배당 확대를 추진해 기존 연결 당기순이익 10% 이상으로 유지 중인 배당 정책을 2027년 15%, 2030년에는 20%까지 높여갈 예정이며, LG유플러스는 주주환원율을 최대 60% 수준을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계획을 진행중이다.
LG는 추가적인 미래투자 및 주주환원 계획도 발표했다. ㈜LG는 약 4000억원 규모(세후)의 광화문빌딩 매각액을 미래 준비와 주주환원 재원 등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구광모 ㈜LG 대표가 미래성장동력으로 낙점한 ABC(AI, 바이오, 클린테크) 영역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일부 금액은 주주환원 재원으로 탄력적으로 활용하는 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향후 2년간 총 2000억원 규모 주주환원 계획을 새로 공개했다. 주주환원의 방법과 시기는 추후 이사회를 통해 결정하고 시장과 추가 소통할 계획이다. LG화학은 사업성과 기반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주환원 정책을 추진키로 하는 한편 미래성장을 위해 LG에너지솔루션 보유주식을 중장기적으로 약 70% 수준까지 낮추며 자회사 지분을 점진적으로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LG는 중장기적으로 효율적 자원배분과 주주환원 확대를 통해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계열사별 목표치는 △㈜LG 2027년까지 8~10% △LG전자 2027년까지 10% 이상 △LG이노텍 2030년까지 15% 이상 △LG화학(LG에너지솔루션 제외 기준) 2028년까지 10% 이상 △LG유플러스 중장기 8~10%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자기 자본을 통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를 말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2028년까지 매출을 2배 성장(2023년 대비)시키고, 에비타(EBITDA) 마진(북미 생산 보조금 제외 기준) 10% 중반 이상 달성 목표를 유지한다. 향후 선별적 투자와 라인 운영 최적화,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확대 등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원가경쟁력 강화를 통한 수익성 향상 등에 집중해 안정적인 잉여현금흐름을 창출하고 주주환원 가능 재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영업이익 흑자전환에서 나아가 순이익 흑자전환을 달성할 전망이며, 차입금도 13조원대 축소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 OLED 중심의 체질개선 성과가 가시화 된 결과로, 중장기적으로 수익성 중심의 사업 운영과 기술 역량 고도화를 통한 구조적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차입금 규모 축소 및 재무비율 개선을 지속할 계획이다.
한편 ㈜LG, LG전자, LG화학은 이사회 내에 보상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거버넌스 체계도 고도화해 나가고 있다. 보상위원회는 임원보수의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고, 주주이익 보호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충족하기 위한 조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