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초 덩어리 '넵튠 볼'...미세플라스틱 필터가 된다고?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9-03 16:33:42
  • -
  • +
  • 인쇄
▲해초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가 뭉쳐져 만들어진 '넵튠 볼' (사진=위키백과)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지면서, 해초와 미세플라스틱이 공처럼 뭉쳐진 이른바 '넵튠 볼'이 지중해 해변에 떠밀려오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대학의 안나 산체스-비달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2일(현지시간)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넵튠 볼이 바다에서 플라스틱을 걸러내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연구팀 추정에 따르면 넵튠 볼이 매년 지중해에서 걸러내는 플라스틱 조각의 양은 8억6700만개 이상이라는 것이다.

주로 지중해에 서식하는 해초인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Posidonia oceanica)는 가을철이 되면 잎이나 뿌리줄기가 떨어져 나와 해안까지 떠밀려오곤 한다. 이 해초가 서로 엉키면서 형성하는 해초 공을 '넵튠 볼'(Neptune ball)이라고 한다. 포시도니아는 지중해권에서 오랫동안 포장, 침구, 주택 단열재로 쓰였다.

연구팀은 2018년~2019년까지 스페인 마요르카섬의 해변 4곳에서 포시도니아 해초잎 샘플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샘플 절반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해초 1㎏당 플라스틱 조각수는 많게는 613개에 달했다. 플라스틱의 61%는 조각 형태였는데 알갱이가 33%, 발포 고무가 2.9% 비중을 차지했다. 성분은 폴리에틸렌(PE) 50.5%, 폴리프로필렌(PP) 32%, 폴리염화비닐(PVC) 6.9% 순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크기는 0.55~287㎜로, 평균 9.08㎜였다.

해초잎뿐 아니라 넵튠 볼에서도 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넵튠 볼 17%가 플라스틱을 함유하고 있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 양은 1㎏당 최대 1470개가 발견됐고, 이 가운데 64%가 필라멘트·섬유 형태였다. 플라스틱 조각이 21%, 필름이 8.1%, 발포 고무가 5.4%를 차지했다. 성분은 폴리에틸렌 테라프탈레이트(PET) 35%, PE 21%, PP 13%, 폴리아미드(PA) 10.8%, PVC 10.8% 순이었다. 크기는 1.05~59.02㎜, 평균 9.48㎜였다.

연구팀은 "해초 지대에서는 해류가 약해져 탄소와 퇴적물을 축적시키고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쌓이는 것에는 플라스틱도 포함된다. 연구에 따르면 매년 최대 241만톤의 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간다. 다만 산체스-비달 박사는 "플라스틱 필터 역할로 해초를 심는 방안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며 "플라스틱 생산량 감축이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산체스-비달 박사는 "넵튠 볼은 해변에 습기와 영양분을 보충하는 역할을 해, 이를 줍는 것만으로도 해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넵튠 볼을 발견하면 해변이나 바다 등 원래 그 자리에 둘 것을 당부했다.

해초는 수질 개선, 탄소 흡수, 해안 보호, 해양생물 서식지 등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수질 오염, 개발, 침입종, 온난화, 해수면 상승 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개체수가 줄어들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전세계 해초 면적은 19세기 후반 이후 29% 감소했으며, 포시도니아도 폭염과 환경오염에 위협받고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사이언티픽 리포트'(Nature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아, 전기 PBV 'PV5' 택배차량으로 본격 공급한다

내연기관 중심의 택배 차량들이 친환경 전기차량으로 전환된다. 기아는 자사의 친환경 전동화 모델인 목적기반차량(PBV) 'PV5'를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

[알림] 11월 6일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 개최합니다

오는 11월 6일 국내외 녹색금융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보는 '제5회 녹색금융/ESG 국제 심포지엄'이 서울 강남구 웨스틴

기후/환경

+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1.5°C 목표 실패...아마존이 사바나될 것"...유엔 사무총장의 경고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 파리에서 전세계 정상들이 모여 합의한 '지구평균기온 1.5℃ 억제하자'는 목표는 이미 실패로 돌아갔다는 판단이

기후변화로 해양자본 갈수록 훼손...WEF "해양경제 붕괴 막아야"

세계경제포럼(WEF)이 기후변화와 오염으로 해양경제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경고했다.27일(현지시간) WEF가 공개한 보고서 '해양경제가 지속가능한

[날씨] 첫서리·첫얼음에 가을이 '꽁꽁'...추위 언제 풀리나?

갑자기 추위가 몰려오면서 첫서리가 내리고 얼음까지 얼었다. 가을에 찾아온 때이른 추위는 오는 29일 낮에 물러날 전망이다.28일 기상청에 따르면 이

밤하늘 곤충이 사라진다…레이더가 포착한 생태계 이상신호

밤하늘을 날던 곤충들이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영국 국립기상청(Met Office)과 국가대기과학센터(NCAS) 연구진은 2014년~2021년까지 영

“기후대응이 수익구조로 변질”…브라질 연구진 '기후상품화' 비판

브라질 연구진이 기후대응이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이윤 중심으로 흐르고 있다며 경각심을 촉구했다.27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환경정책 연구기관 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