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2300km 산호군락지 '하얗게 변색'...해양폭염으로 역대급 피해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7 08:30:02
  • -
  • +
  • 인쇄


올초부터 이어진 해양폭염으로 호주 전역의 산호초가 백화현상을 겪고 있는 가운데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관측 이래 가장 심각한 산호 감소가 확인됐다.

호주해양과학연구소(AIMS)는 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지난해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124개 산호초를 조사했는데, 북부에서 남부 산호군락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백화 현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3월 당시에도 호주해양보호협회는 타운즈빌에서 케이프요크에 이르는 1000km 해역과 서부 닝갈루 리프 전체에서 산호가 하얗게 변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특히 지난해와 올초 기록적 고수온이 지속되면서, 2016년 이후 여섯번째 대규모 백화가 일어났다. 산호는 서식 수온보다 1℃ 높으면 2개월, 2℃ 높으면 1개월만에 폐사에 이를 수 있다. 올해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서는 역대 가장 넓고 강한 백화가 관측됐다.

산호 감소를 유발하는 또다른 요인으로는 열대성 태풍, 불가사리 떼 등이 지목됐다. 하지만 AIMS는 "기후변화로 인한 열스트레스가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산호의 회복 속도가 갈수록 느려지고 있어, 생태계가 "되돌릴 수 없는 전환점에 다다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열에 가장 민감한 아크로포라(Acropora) 산호가 특히 큰 피해를 입었다. AIMS 마이크 엠슬리 박사는 "이 산호들은 가장 빠르게 자라고, 가장 먼저 사라진다"고 밝혔다. 3월 당시에도 에밀리 하웰스 서던크로스대학 박사는 "이미 열에 민감한 산호는 다 죽었기 때문에 올해 사망률이 낮은 것처럼 보일 뿐"이라며 회복불능 가능성을 제기한 바 있다.

한편 중부 산호초에서는 일부 회복 조짐도 보였다. 호주 정부는 산호를 갉아먹는 불가사리를 제거하기 위해 초산과 소담즙을 주입해 5만마리를 없앴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중부 해역에서는 잠재적 불가사리 확산이 관측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길이 2300km에 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산호 군락지로, 지구 해양생물의 4분의 1이 이곳에 서식한다. 하지만 올초 서부의 닝갈루 리프까지 백화되면서, 호주 전역의 주요 산호초가 사상 처음으로 동시에 변색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세계자연기금(WWF) 호주지부의 리처드 렉은 "이 생태계가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는 강력한 경고"라며 "이미 회복 불가능한 지역도 있는 만큼, 대규모 기후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