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5-08-05 16:27:00
  • -
  • +
  • 인쇄
▲허드 섬 (사진=위키백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

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팀은 인도양 남부에 위치한 허드섬의 빙하가 70년 사이에 약 4분의 1이 사라졌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항공사진·지도를 위성 데이터와 결합해 분석한 결과, 1947~2019년 섬 기온이 0.7℃ 오르면서 빙하 면적이 289㎢에서 225㎢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47년 이후 허드섬의 빙하 29곳이 녹고 있으며, 특히 섬 동부에 위치한 스티븐슨 빙하는 최대 6km까지 후퇴할 정도로 녹아버렸다. 지난 20년동안 이 빙하는 연평균 178m씩 후퇴했다. 인근 로렌스 반도의 빙하 손실은 더 심각하다. 1947년 면적이 10.5㎢에 달했던 빙하는 2019년 2.2㎢밖에 남지 않았다.

연구팀은 빙하가 사라지는 원인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지목했다. 논문의 저자 중 한 명인 앤드류 매킨토시 SAEF 수석연구원은 "빙하는 작은 온도 변화에도 매우 민감하다"며 "이번 연구는 기후변화의 영향에서 자유로운 곳이 없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허드섬은 호주 퍼스에서 남서쪽으로 4100km, 남극에서 북쪽으로 1500km 떨어진 허드 맥도널드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무인도임에도 불구하고 올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 관세를 부과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섬에는 호주 유일의 활화산인 빅벤이 있으며 펭귄, 슴새류, 알바트로스 같은 바닷새를 비롯해 코끼리물범 그리고 이 섬에서만 자라는 고유 식물종이 서식한다.

저스틴 쇼 호주 퀸즐랜드공과대학 SAEF 부교수는 "남반구 수목한계선(식물이 자랄 수 없는 환경)에 위치한 허드섬에 자라는 식물은 단 1종"이라며 "기후변화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에 완벽한 장소"라고 설명했다.

쇼 박사는 빙하가 녹으면 이 섬에 사는 생태계에 위험을 초래하고 노출된 맨땅이 늘면서 침입 식물종이 자리잡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여기에 빙하가 사라진 자리에 석호가 나타나면서 새들이 둥지를 틀 땅이 사라지고, 해안 침식을 일으킬 수 있다고 쇼 박사는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극저온'(Cryosphere)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우리금융, 차기 회장 선임 위한 공식절차 돌입

우리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지난 28일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경영승계절차를 공식적으로 개시했다고 29일 밝혔다.임추위는 사

"밥도 못 먹고 일해"...런던베이글뮤지엄 10대 과로사 의혹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에서 일하던 20대 직원이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해 과로사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직원은 지난 7월 숨졌는데 사

[APEC]전세계 유통기업들 '경주선언' 채택...'AI·친환경' 협력

전세계 유통기업 리더들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개막되는 경주에서 모여 'AI·친환경·국제표준'을 미래 유통산업 발전을

하나금융, 시니어 일자리 창출 위한 도시락 제조시설 개소

하나금융그룹이 광주광역시 광산구와 함께 시니어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반찬 도시락 제조시설 '한 끼를 채우는 행복 담:다'를 개소했다고 28일 밝혔다.

현대百, 울릉도·독도 자생식물 종자 35종 시드볼드에 기탁

현대백화점이 '한국의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울릉도·독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민간기업 최초로 '백두대간 글로

이재상 하이브 대표 "K팝 넘어 K컬처로…글로벌 성장 선순환 이룰 것"

이재상 하이브 대표이사가 전세계 청년세대에게 K팝 방법론의 확장을 통해 글로벌 전역에 '문화·경제적 선순환 모델'을 구축해 나갈 청사진을 제

기후/환경

+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으로 둔갑..."REC 관리 사각지대 바로잡아야"

수입산 폐목재가 국산 원목으로 둔갑하는 등 국내 발전5사가 사용하는 폐목재의 원산지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남동·남부·서부&mi

억만장자 1명 하루 800kg 탄소배출...하위 50% 하루 2kg 배출

세계 최상위 0.1% 부유층이 단 하루동안 배출하는 탄소량이 전세계 하위 50% 인구의 1년치 배출량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영상] 시속 298㎞ '괴물' 허리케인...자메이카 쑥대밭 만들고 쿠바行

카리브해 섬나라 자메이카가 올해 전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허리케인이 상륙하면서 쑥대밭이 됐다.자메이카를 강타한 허리케인 '멀리사'(Melissa)'는 카

빌 게이츠 "기후위기, 온도보다 인간의 고통을 줄이는데 집중해야"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 빌 게이츠가 "기후위기 대응은 온도제한보다 인류의 고통완화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밝혔다.빌 게이츠는 오는 11월 브라

"목표만 있고 시간표는 없는 NDC...연도별 감축 로드맵 의무화해야"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모두 연도별 감축경로를 법적으로 의무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

AI로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 찾아준다

인공지능(AI)이 기후변화에 강한 도시상권을 찾아내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