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풍력 발전기' 설치조건에 따라 배출량 2.4배 차이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14 17:50:31
  • -
  • +
  • 인쇄

도심형 친환경 에너지로 꼽히는 소형풍력 발전기가 설치조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2.4배나 차이가 났다. 

미국 네바다대와 UC머시드 연구진은 2.4킬로와트(kW)급 소형풍력 발전기의 전체 생애주기 배출량과 에너지 환수 기간을 지역별로 비교했더니 풍속이 낮은 지역에 설치된 소형 발전기가 풍속이 높은 지역에 설치된 것보다 탄소배출량이 높게 나타났다고 12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징은 소형풍력 발전기의 제조부터 운송, 설치, 운영,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LCA)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합산한 뒤, 전력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산출해 비교했다. 비교실험은 미니애폴리스와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각각 진행했다. 

그 결과, 소형풍력 발전기의 에너지효율은 풍속과 터빈의 높이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니애폴리스에서 진행된 풍속 실험에서는 바람세기가 낮은 지역에 설치된 소형 발전기는 바람세기가 높은 지역에 설치된 발전기보다 전력생산량이 훨씬 낮았다. 풍속이 낮은 지역에 설치된 발전기는 그렇지 않은 발전기보다 탄소배출량이 2.4배 높았다.

터빈의 높이도 전체 탄소배출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됐다. 일반적으로 10m 높이에 설치된 소형풍력 발전기보다 30m 높이에 설치된 발전기가 더 많은 전력을 생산한다. 하지만 그만큼 설치 구조물이 많이 소요되므로 전체 탄소배출량은 더 많다. 텍사스 오스틴에 위치한 풍력 발전기들에 경우, 높이를 더 높였을 때 건설과정의 탄소배출량으로 인해 전체 배출량이 오히려 증가했다.

또 소형풍력의 평균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대형풍력보다 최대 10배 높았다. 대형터빈은 kWh당 배출량이 10~50g 수준인 반면, 소형터빈은 53~293g으로 범위가 넓었다. 연구진은 "크기가 작다고 해서 반드시 탄소배출이 적은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이같은 결과는 도시 탄소중립 계획 수립시 가장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고, 수명을 늘리는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외에 철강·콘크리트 생산 공정의 탈탄소화가 병행돼야 진정한 저탄소 풍력시스템이 자리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Scientific Reports' 7월 12일자 온라인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가축분뇨를 농촌 에너지로 활용...기아, 홍성에 시설 지원

기아가 홍성에서도 온실가스 감축과 지역사회 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가축분뇨의 자원화 및 에너지화에 나선다.기아는 지난 2일 충남 홍성군청에서

삼성전자도 구글처럼 '워터 포지티브' 사업...환경부와 '신풍습지' 개선

기업이 사용하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자연에 돌려보내는 '워터 포지티브' 사업이 국내에서 첫 착공식을 가졌다.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2일 오후

마실 물도 부족한 강릉 시민들...지자체와 기업들 생수기부 '쇄도'

4개월 넘게 비가 내리지 않고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 시민들에게 전국 각처에서 생부 기부가 끊이지 않고 있다. 강릉시는 기부받은 생수를 취약

한국의 탄소발자국 검증제도, 이탈리아와 상호인정 첫 사례 탄생

우리나라가 이탈리아와 탄소발자국 상호협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에서 상호인정을 받은 첫 사례가 나왔다.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 지클로(G.CLO)의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기후/환경

+

아프간 동부 연속 지진에 '폐허'...사망자 하루새 2배 늘어

2년만에 아프가니스탄에서 또 지진이 발생해 수천명이 목숨을 잃고 있다.이번 지진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오후 11시47분쯤 아프간 동부 낭가르하르주

태풍 '페이파' 日 향해 북상...강릉에 '가뭄에 단비' 될까?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상에서 생성된 열대저압부가 곧 제15호 태풍으로 발달해 북동진한다는 이동경로가 발표되면서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을

강릉 저수율 14% 붕괴...제한급수인데 수돗물 사용량이 그대로?

강릉 시민들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3.9%까지 내려갔다. 소방차와 물탱크 차량까지 동원해 저수지에 물을 쏟아붓고 있지만

"올가을 '라니냐' 발생률 55%"...韓 고온다습한 가을?

올가을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이 55%로 전망됐다.세계기상기구(WMO)는 2일 엘니뇨·라니냐 전망에서 9∼11월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을 55%, 라니냐도

내년도 환경부 예산안 15.9조...탈탄소와 기후대응에 중점투자

2026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원 가운데 36.4%인 5조8000억원이 기후재난 대응 등 사회안전망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34.5%인 5조5000억원이 재생에너지와

'전국 지하수 지도' 36년만에 완성...환경부, 3일 선포식

전국 '지하수 지도'가 36년만에 완성됐다. 정부가 전국 지하수 지도를 만드는 기초조사를 시작한 시점은 199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는 지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