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청소년 스트레스 코로나 전보다 더 악화…저소득층·여학생 '취약'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4 16:03:07
  • -
  • +
  • 인쇄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된 뒤에도 한국 청소년의 스트레스 수준은 팬데믹 이전보다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고생과 저소득층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높았고, 회복 양상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김서정 이화여대 교수, 지수혁 고려대구로병원 교수, 채보람·이종하 고려대안산병원 교수 연구팀이 2018년~2022년까지 한국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7만8989명을 팬데믹 이전(2018~2019)과 팬데믹 중(2020~2021년), 팬데믹 이후(2022년)로 나눠 분석한 이같은 결과를  심리학 국제학술지 '심리학 기록(Acta Psychologica)'을 통해 3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전체적으로 청소년 스트레스는 팬데믹 초기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이후 반등했고, 엔데믹이 시작된 2022년에는 팬데믹 이전보다 오히려 더 높아졌다. 팬데믹 이후 스트레스 점수는 2.66점으로, 팬데믹 이전 2.71점보다 낮았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수록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척도라는 점에서, 전반적 스트레스는 오히려 더 악화된 셈이다.

여학생은 모든 시기에서 남학생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특히 남학생은 팬데믹 중 스트레스가 다소 완화됐다가 이후 급격히 악화된 반면, 여학생은 시기별 변화 폭이 작았다. 연구팀은 남학생이 팬데믹 이후 일상 복귀에 더 큰 어려움을 겪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수준도 지속적으로 높았다. 팬데믹 중에는 중학생보다 스트레스 완화 폭이 컸으나, 이후 다시 악화되며 중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면 시간은 전반적으로 줄었으며,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에서 감소 폭이 더 컸다.

저소득층 청소년은 세 시기 모두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으며, 변화 폭도 거의 없었다. 팬데믹이 시작되기 전에도 스트레스가 높았고, 이후에도 회복 기미가 뚜렷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저소득층은 상황 변화에 관계없이 만성적 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체활동은 팬데믹 중 감소했다가 이후 회복됐지만, 스트레스 수준은 같은 경로를 따르지 않았다. 팬데믹 이후 활동량이 늘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스트레스는 더 높아져, 단순한 행동 변화만으로는 정신건강 회복에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연구진은 "코로나19 이후 청소년 정신건강은 단순히 원상복귀되지 않고 집단별로 다른 양상으로 변화했다"며 "여학생, 고등학생, 저소득층 등 취약집단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PC, 야간근로 8시간 제한...新근무제 9월부터 시범운영

SPC그룹이 각 계열사별로 생산직 야간근로를 8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새로운 근무제도를 9월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SPC그룹은 이재명 대통령

대한항공-아시아나, 폐유니폼으로 만든 파우치 판매수익금 전액 기부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업사이클링(Up-cycling·새활용) 보조배터리 파우치를 제작해 판매한 수익금 전액을 포함한 기부금을 사단법인 소

현대백화점그룹, ESG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한다. 그룹 내 계열사의 지속가능경영 성과를 체계적으로 통합관

우리은행 'K-택소노미 AI' 도입으로 녹색금융 지원 강화

우리은행은 시중은행 최초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여신 심사에 활용하는 'K-택소노미 전문상담 AI'를 도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택소노미'는 지난 202

金총리 "태양광·풍력 대폭 확대…RE100 전용 산업단지 조성할 것"

김민석 국무총리가 탄녹위 주최 콘퍼런스에 참가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차원의 에너지 대전환 추진 의지를 분명히 했다.김민석 국무총리는 22

상가 셔터가 작품으로 변신...KCC, 5명 작가와 을지로에 '셔터아트'

최근 젊고 힙(Hip)한 공간으로 탈바꿈하며 '힙지로'로 불리우는 을지로가 KCC의 컬러로 물들고 있다. KCC는 '셔터 아트 프로젝트'를 통해 서울 을지로 일

기후/환경

+

선체 수중청소시 발생하는 중금속 부산물 "해양생태계에 악영향"

선박을 로봇으로 청소하는 과정에서 떨어져나오는 부산물이 바닷물을 오염시켜 해양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해양과학기술원(

"韓 2035 온실가스 60% 감축 가능"...국내 연구진이 방법 제시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 60%까지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환

[영상]"새로 개봉한 종말 영화인줄"...美 애리조나 덮친 거대 모래폭풍

미국 서남부 애리조나주에 거대 모래폭풍이 덮쳐 항공편이 지연되거나 건물이 파손되는 등 피해가 잇따랐다.26일(현지시간) AP통신, 가디언 등 주요 외

기후위기로 주목받는 '지수형 보험'…해외는 이미 도입했는데 우리는?

기후변화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면서 산불과 극한호우, 폭염 등 측정이 어려운 재난으로 피해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보상할 수 있는 '지수형 보험'

'기후산업국제박람회' 개막...기후위기 시대 'AI 역할' 조망한다

삼성전자와 LG전자, SK 등 국내 대기업들이 27일 부산 벡스코에서 막을 올린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여해 인공지능(AI)을 주축으로 다양한 기

남극 빙하에서 깨어난 미생물...일부에서 인체감염성 확인

남극 빙하 속에서 오랜시간 잠들어 있던 미생물 가운데 일부가 인체감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극지연구소 김옥선 박사 연구팀은 남극장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