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유럽 원전까지 셧다운…"당장은 괜찮지만, 계속되면 위기"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7-04 11:55:06
  • -
  • +
  • 인쇄

유럽의 기록적 폭염으로 프랑스와 스위스 원자력발전소 3기가 가동을 멈췄다. 당장의 전력 수급에는 큰 차질이 없지만, 기후변화로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중장기 에너지 안정성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조치는 강의 수온 상승 때문이다. 프랑스 남부 골페슈(Golfech) 원전은 냉각수로 사용하는 가론강 수온이 28도 이상으로 오를 것으로 예보되자 지난 28일(현지시간) 발전소 1기를 정지시켰다. 스위스 북부의 베츠나우(Beznau) 원전도 아레강 수온이 25도 이상을 며칠간 초과하자, 1일과 2일 각각 1기씩 가동을 중단했다.

원전은 일반적으로 주변 강이나 바다에서 물을 끌어와 원자로를 냉각한 뒤 다시 따뜻해진 물을 방류하는 구조다. 그런데 폭염으로 강 수온이 높아지면, 이 물을 다시 덥히는 과정에서 수생 생물에 피해를 줄 수 있어 양국 모두 일정 수온 이상에서는 가동을 줄이도록 규제하고 있다.

베츠나우 원전 운영사 악스포(Axpo)는 "여름철 과도한 강 수온 상승이 추가적인 생태계 스트레스를 유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라며, "25도 기준이 여러 날 초과됐다"고 밝혔다.

각국은 이번 조치로 인한 당장의 전력 손실은 크지 않다고 밝혔다. 스위스 에너지청은 "다른 수력 발전소들이 일시 정지분을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프랑스 전력망 운영사도 공급에 무리는 없다고 판단했다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이러한 셧다운이 점점 잦아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프랑스 감사원은 작년 보고서에서 "기후 관련 셧다운으로 인한 전력 손실이 2050년까지 현재의 3~4배로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스위스 연방에너지청은 "이번이 베츠나우 원전이 수온으로 인해 실제로 가동을 중단한 첫 사례"라고 밝혔다. 2022년 폭염 당시에는 전력 수급 문제로 중단을 하지 않았지만, 최근엔 사정이 달라졌다는 의미다.

고온으로 인한 원전 중단은 생태계 보호 외에도 기술적 문제로도 이어진다. 수온이 지나치게 높으면 원자로 냉각 효율이 떨어져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원자력학회 고위과학위원인 마르쿠스 암메는 "스위스 내 원전은 모두 최대 40도 공기온도까지 견딜 수 있도록 안전 인증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그 안전 범위 안에서라도 셧다운이 잦아지면, 결국 다른 에너지원에 대한 의존도가 커질 수밖에 없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우리은행 'G.우.주 프로젝트' 시행...경기도 보호아동 위해 6억 지원

우리은행이 'G.우.주 프로젝트'를 통해 보호아동을 위해 4년간 매년 1억5000만원을 지원한다.우리은행은 경기주택도시공사(GH),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은...KEMI, 17일 세미나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이 오는 17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ESG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3일

방시혁 하이브 의장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50억 기부

방시혁 하이브 의장이 모교인 서울대학교에 기부한 50억원이 서울대 문화관 재건축에 사용된다.서울대는 3일 오후 6시 서울 관악구 서울대 문화관 중강

KCC '2025 ESG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스코프3'까지 확장

KCC가 ESG경영 성과와 지속가능 전략을 담은 '2025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올해 11번째로 발간되는 이번 보고서는 지속가능경영보고

"중대재해는 기업 ESG평가의 핵심리스크...등급 차감요소로 작용"

'중대재해'가 기업의 가치와 ESG 평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스틴베스트가 3일 발간한 '중대재해

기후/환경

+

바닐라·유제품 생산량도 감소?...기후변화로 생산량 감소세

바닐라와 유제품 등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품과 향신료가 기후변화에 의해 생산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샬럿 와테인

美 캘리포니아 반년만에 또 '대형산불'...폭염과 강풍에 불길 확산

올 1월 로스앤젤레스(LA) 대형산불로 몸살을 앓은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또다시 대형산불이 발생했다.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산림소방국(Cal Fire)에

"더이상 못 참겠다"…환경부, 계양산 러브버그 직접 방제

인천 계양산에 떼로 나타났던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인해 주민들의 불편이 커지자, 환경부가 결국 직접 방제에 나섰다.최근 계양산 정상을

때이른 폭염에 '가장 더운 6월'...1년만에 평균기온 또 갈아치웠다

올 6월 우리나라 전국 평균기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역대 가장 더웠던 6월'로 기록됐다.4일 기상청이 발표한 2025년 6월 기후특성에 따르면 6월 전

'불지옥'으로 변한 유럽...독일과 그리스 산불 계속 확산

역대급 폭염이 덮친 유럽에서 유럽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면서 가득이나 뜨거운 대기를 더 뜨겁게 달구고 있다. 3일(현지시간) dpa통신 등에

[주말날씨] 낮 최고 36℃ '찜통더위'...밤에도 28℃ '열대야'

이번 주말도 낮밤을 가리지 않고 찜통더위가 이어지겠다. 중부지방은 대체로 흐리고 남부지방과 제주도는 가끔 구름많겠다.전국에 폭염특보가 발효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