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미사일 발사예고에 미국발 韓여객기 3편 나리타 임시착륙

송상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2 15:55:46
  • -
  • +
  • 인쇄
▲미국발 한국행 여객기 3편이 나리타에 임시 착륙한다. (사진=AP 연합뉴스)


러시아가 미사일 발사를 예보하면서 미국에서 한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3편이 12일 오후 5시쯤 일본 나리타 공항에 임시 착륙한다.

나리타 공항에 임시착륙하는 항공편은 대한항공 KE82편(뉴욕 JFK 출발), KE92편(보스턴 출발), 아시아나항공 OZ221편(뉴욕 JFK 출발)이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에 따르면 항공고시보(NOTAM:Notice to Air Missions)를 통해 러시아 미사일 발사 정보를 접하고 항로를 나리타 공항으로 목적지를 변경했다.

NOTAM은 항공사와 조종사에게 비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를 사전에 알리는 국제표준 고시체계로, 항공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수단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해당 고시가 발행되자 즉각 위험 회피 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 동부에서 출발한 장거리 항공편들은 경로 변경으로 인해 총 운항시간이 늘어났다. 이로 인해 조종사 운항시간이 한도에 도달할 우려가 생겨 이로 인해 임시 착륙이 불가피해졌다. 대부분의 장거리 국제선은 2인 조종사 체제로 운항되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및 항공사 내부 규정에 따라 근무 시간은 최대 16시간으로 제한된다. 시애틀 등 서부에서 출발한 항공편은 시간 범위 내에 들지만, 뉴욕과 보스턴발 항공편은 이를 초과하게 돼 임시 착륙을 하게 됐다.

아시아나항공 관계자는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변경된 항로에 상층풍으로 인한 기상 악조건이 더해져 비행시간이 늘어나 임시착륙이 불가피해졌다"며 "OZ221편은 승객들에게 사전에 문자 발송과 함계 카운터 수속시 지연 가능성에 대해 안내했다"고 밝혔다.

세 항공편 모두 나리타 공항에 도착 후 유류를 보충하고 승무원을 교체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테크니컬 랜딩(기술적 착륙)으로, 승객들은 항공기 안에서 대기하며 기체 이동이나 환승 없이 동일 기종으로 인천까지 이어서 비행한다.

미국 현지시간으로 모두 11일 출발한 대한항공 KE82편(뉴욕 JFK 출발)은 우리 시간으로 12일 오후 9시43분에 인천공항에 도착하고, KE92편(보스턴 출발)은 12일 오후 9시37분, 아시아나항공 OZ221편(뉴욕 JFK 출발)은 12일 오후 9시 30분에 도착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