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통제불능"...호주, 늘어난 사슴에 '골머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0 16:30:32
  • -
  • +
  • 인쇄

호주가 토끼에 이어 늘어나는 사슴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19일(현지시간) 100명 이상의 호주 빅토리아주 토지소유자와 관리자, 환경단체 및 학자들은 빅토리아주 농업부 및 환경부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야생사슴의 법적 지위를 보호동물에서 유해동물로 변경할 것을 촉구했다고 영국 가디언이 보도했다.

서한까지 보내게 된 배경에는 야생사슴 개체수가 급증했기 때문. 조던 크룩 빅토리아국립공원협회 관계자는 "사슴이 농업과 환경에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며 "여우, 토끼, 돼지와 함께 사슴을 유해동물로 인식하고 보호조치를 해제해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야생사슴이 주 전체에 급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열대우림, 고산습지 등 멸종위기에 처한 종의 중요한 서식지를 파괴하고 농업 및 도로 안전에 큰 지장을 주고 있다"며 "야생사슴을 유해동물로 지정하고 개체수를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호주에서 사슴은 야생동물보호법 입법 당시 토종동물과 함께 보호동물로 지정됐다. 그러나 해당 법은 입법 이후 한번도 개정되지 않은 채 관료적 유물로 남았다는 것이 크룩의 설명이다.

라 트로브 대학의 생태학자 알렉스 메이지 박사도 "야생사슴이 단데농 산맥의 셔브룩 숲과 같은 온대우림을 파괴하고 있다"며 "몬불크 크릭에 흐르던 수정처럼 맑은 개울은 사슴들에게 짓밟혀 탁한 진흙물이 됐다"고 말했다.

메이지 박사에 따르면 사슴이 셔브룩 숲에 서식하는 사사프라스 나무의 90% 이상을 심하게 손상시켰다. 나뭇잎 덮개가 사라지면서 습하고 그늘진 지역이 말라버렸다는 것이다. 이는 금조류와 셔브룩옆새우(sherbrooke amphipod) 등 지역 고유종의 서식지에 악영향을 미쳤다.

빅토리아주 그램피언스 지역의 농장주 톰 구트리는 "사슴 수가 이미 통제불능 상태"라며 "10년 전에는 무리지어 5~6마리가 보였는데, 어제는 40마리가 모였다"고 말했다.

사슴은 농부들에게 막심한 피해를 입혔다. 이들은 쉽게 울타리를 뛰어넘어 포도원을 망치고, 포도를 비롯한 귀중한 농작물들을 뜯어먹는다고 구트리는 전했다. 이어 그는 "10년 후 사슴 수가 더 많아진 후에 줄이려면 너무 늦을 것"이라며 "이는 심각한 문제라는 것을 정부가 인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주 비정부기구 침입종위원회(Invasive Species Council)에 따르면 빅토리아주의 야생사슴 개체수는 수십만에서 수백만에 이른다. 호주에서 사슴이 가장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23년 사냥한 사슴의 수는 약 13만7090마리다. 

하지만 호주사슴협회는 사슴을 유해동물로 지정하는 데 반대하고 있다. 협회는 "야생사슴 관리에 관심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유해동물 지정을 추진하는 일은 모순적"이라고 비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ESG '환경·사회' 지표 투자전략 반영했더니 지수 수익률 상회"

투자전략에 ESG 세부지표를 반영하면 시장대비 높은 장기수익률과 안정적인 위험관리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ESG 평가 및 투자자문기관 서

'몸짱 소방관' 2026년 달력 만든다...'우리동네GS'에서 사전예약

오는 11월 9일 소방의 날을 맞아 2026년도 '몸짱 소방관 달력'이 나온다.몸짱 소방관 달력의 정식명칭은 '소방관 희망나눔달력'으로, 서울시 소방재난본

SK이노, 에이트린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전과정평가(LCA) 무상 지원

SK이노베이션이 소셜벤처 '에이트린'의 재생플라스틱 우산에 대한 전과정평가(LCA)를 무상 지원한다.SK이노베이션은 지난 4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

KT도 '유심' 무상교체 시행...김영섭 대표는 연임포기

KT는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 피해 및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다시한번 사과하고, 고객의 보안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5일부터 교체를 희망하는 전 고

노동부 칼 빼들었다...'런베뮤' 지점과 계열사도 근로감독

고용노동부가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모든 지점과 운영사인 엘비엠의 계열사까지 근로감독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 런던베이글

SPC 허진수-허희수 형제 '나란히 승진'...경영승계 '속도낸다'

SPC그룹은 허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허희수 부사장을 사장으로 각각 승진 발령하면서 3세 경영승계 작업을 가속화했다.4일 SPC그룹은 이같은 인사단행

기후/환경

+

아마존 '지구허파' 옛말?...14만건 산불로 '탄소배출원'으로 전락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지난해 산림벌채보다 산불로 인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유럽연합(EU) 공동연구

韓선박 무더기 운항제한 직면하나?..."탄소감축 못하면 국제규제"

한국 해운업계가 탄소배출을 줄이지 못해 일부 선박이 운항제한이나 벌금을 맞을 위기에 직면했다.기후솔루션은 5일 전세계 100대 해운사의 온실가스

화석연료 못버리는 국가들..."파리협약 1.5℃ 목표달성 불가능"

전세계가 지구온난화를 1.5℃ 이내로 억제하기로 합의한 '파리기후변화협약'이 사실상 실패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다.5일(현지시간) 미국 시사주간

[뷰펠] 에너지 저장하는 '모래 배터리' 개발...베트남 스타트업의 도전

뉴스트리가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 '뷰티풀펠로우'에 선정된 기업을 차례로 소개하는 코너를 마련했습니다. 뷰티풀펠로우는 지속가능하고 혁신적인

[단독] 정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률 '61%안'으로 가닥

2035년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가 '61%안'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4일 정부 안팎 관계자들에 따르면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5

국제기후기금 97%는 기술에 '몰빵'...사회적 지원은 '찔끔'

국제적으로 조성된 기후기금의 97%는 기술투자에 투입됐고, 사람과 지역사회를 위한 지원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3일(현지시간) 영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