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경원 시장 잡아라...하나금융 '생물다양성' 투자 확대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5-24 09:45:36
  • -
  • +
  • 인쇄
확대되는 '자연자본' 시장 선제 대응
UN과 아태지역 지속가능금융 선도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우)이 에릭 어셔 UNEP FI 대표와 악수를 나누며 인사하고 있다. (사진=하나금융그룹)


하나금융그룹이 잠재 시장규모가 10조달러에 달하는 '생물다양성 보존' 분야에 투자를 확대한다.

하나금융그룹은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유엔 환경계획 금융 이니셔티브'(UNEP FI) 아시아·태평양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아태지역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생물다양성 분야 투자 확대에 앞장서겠다고 24일 밝혔다.

UNEP FI는 금융회사의 경영활동이 지속가능성을 바탕으로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UNEP와 전세계 450개 이상의 금융회사가 참여하고 있는 국제적인 이니셔티브다.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이날 개최된 UNEP FI 아시아·태평양 라운드테이블은 아태지역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심도있는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기조연설자로 나선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팬데믹과 자원고갈 등의 이슈로 생물다양성 영역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함께 올해 자연관련 재무정보 공개협의체(TNFD), 생물다양성 회계금융연합(PBAF)에 적극 참여할 예정"이라며 "거대한 잠재력을 가진 '생물다양성 보전 분야'에 대한 정책 수립 및 투자 확대를 통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금융의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생물다양성은 담수, 토양, 해수, 자원 등 자연자본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에 따른 리스크는 기후변화보다 더 방대하고 대응하기 어려운 리스크로 꼽힌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지난 2020년 '자연과 사업의 미래'(The Future of Nature and Business) 보고서를 발간해 이 분야가 조만간 연 10조달러 규모의 잠재력을 갖춘 시장으로 거듭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함영주 회장이 언급한 TNFD는 기업의 자연자본 위험 유발 여부와 대응 현황에 대한 공시 기준을 제공하고, PBAF는 금융회사의 여신 투자활동이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방법을 개발한다. 하나금융그룹은 이같은 이니셔티브에 가입해 생물다양성 정책을 수립하고, 미래 시장이자 리스크로 다가올 생물다양성 보존 분야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함 회장은 "급속도로 진행된 디지털 전환으로 지역적, 국가적 경계가 허물어지며 금융회사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의 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다"며 "하나금융그룹은 금융의 사회적 영향력이 확대됨에 따라 환경과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도 책임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투자와 공동의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UNEP FI의 글로벌 30개 금융회사로 선발돼 파리기후변화협약과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목표 이행을 위해 은행의 역할과 책임을 규정한 UNEP FI 책임은행원칙 제정사로 사업에 참여하는 등 UNEP FI의 지속가능금융을 위한 활동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