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어디가고 선인장만…온난화가 바꾼 알프스 풍경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2-14 08:50:02
  • -
  • +
  • 인쇄
외래종 부채선인장 무차별 확산
스위스 발레주 지역생태계 위협
▲지구온난화로 외래종 선인장이 증식해 스위스 발레주 등지를 뒤덮었다.(사진=피터 올리브 바움가르트너)

지구온난화로 스위스 알프스산맥 산비탈에 외래종인 선인장이 증식해 지역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10일(현지시간) 스위스 발레주 퓰리(Fully)의 지자체는 부채선인장속에 속하는 종들이 발레주 일부지역에 번식하면서 자연보호구역을 잠식하고 생물다양성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겨울에는 눈, 여름에는 에델바이스 꽃에 뒤덮여 있던 발레주 산지가 지구온난화로 인해 외래종 선인장에 뒤덮이고 있다는 것이다.


당국은 보도자료를 통해 "건조하고 더운 기후를 좋아하는 이 외래종 식물이 국가적으로 중요한 초원과 건조목초지를 침범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알프스산맥 기후의 온난화로 식생 기간이 늘고 적설량이 줄어 곰팡이 증식도 활발해질 것으로 우려했다.

부채선인장은 적어도 18세기 후반부터 북미에서 발레에 수입된 종으로 현재 발레주 주도 시옹 주변 일대에서도 증식해 하층식생 면적의 23~3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스위스 티치노와 그리슨, 이탈리아의 아우스타 계곡과 발텔리나를 포함한 인근 알프스 지역에서도 발견됐다.

발레주 자연보호서비스에서 근무하는 얀 트리포네즈(Yann Triponez) 생물학자는 발레 일부 지역에서는 선인장이 이용가능한 표면의 1/3까지도 차지할 것으로 추정했다.

피터 올리버 바움가르트너(Peter Oliver Baumgartner) 지질학 교수는 "이 선인장 종은 건조한 환경을 선호하고 눈 덮인 환경을 좋아하지 않으나 영하 10도~영하 15도의 기온에서도 견딘다"고 설명했다.

현재 알프스산맥은 낮은 고도에서의 적설량이 줄고 있다. 스위스연방기상청(Meteo Swiss)에 따르면 스위스 해발 800m 이하의 적설량은 1970년 이후로 절반으로 줄었다. 12일 네이처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눈이 알프스를 덮는 평균 기간이 기존보다 약 한 달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6세기 동안 전례 없는 상황이다.

스위스 평균기온도 지구 평균보다 두 배 더 빠르게 상승해 이미 1871~1900년 평균보다 2.4도 더 높아졌다. 바움가르트너 교수는 "스위스의 기온상승 곡선은 거의 북극만큼 가파르다"고 덧붙였다.

발레에 있는 부채선인장 9종이 멸종위기종을 비롯한 토착종이 서식하는 해발 700m 이하의 양지바른 곳에 분포하며 바움가르트너 교수는 이중 4종이 지역생태계, 특히 계곡 남향 경사면의 1/3을 차지하는 중산성 토양지역에 위협이 된다고 말했다.

트리포네즈 생물학자에 따르면 발레는 스위스의 생물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로 스위스 식물 약 3000종 가운데 2200여 종이 발레에 서식한다. 그는 "선인장은 토양을 뒤덮어 자리 잡은 지역에 다른 종이 자라질 못하게 막는다"며 당국에서도 선인장이 자연보호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자체는 앞으로 몇 주 내에 선인장 뿌리뽑기운동(uprooting campaign)을 퓰리에서 재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리포네즈 생물학자는 당국이 선인장을 심는 주민과 관광객에게 선인장의 위협을 알리는 캠페인도 시작했다고 전했다.

다만 선인장의 증식을 막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예상이 이어지고 있다. 부채선인장 종은 번식력이 강하며 떨어지거나 밟혀도, 몇 달간 건조한 상태에 있거나 뿌리가 뽑혀도 빠르게 회복하기 때문이다.

10년 전 시옹에서 뿌리뽑기운동이 일어났으나 이런 질긴 생명력으로 인해 부진하게 끝났으며 지난해 퓰리 지자체도 선인장을 뿌리째 뽑아 퇴비로 이용하려는 계획을 세웠으나 수포로 돌아갔다. 선인장을 숲과 같은 습한 그늘지역에 두면 퇴비로 썩을 것이라는 판단과 달리 오히려 번성하고 뽑아간 대부분의 장소에서도 새로 자라고 있어 생물학자들은 선인장 박멸가능성에 의문을 표하고 있는 실정이다. 바움가르트너 교수는 "선인장 증식을 억제할 수는 있겠지만 완전히 근절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보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중소·중견 대상 '우리기업 탄소기업 첫걸음' 이벤트

KB국민은행이 온라인 플랫폼 'KB 탄소관리시스템' 신규 등록하는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우리 기업 탄소관리 첫걸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20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환경규제 강한 국가일수록 친환경 제품 생산지로 각광...이유는?

친환경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환경규제가 강한 국가로 생산거점을 옮기는 '녹색 피난처'(green haven)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과학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무늬만 친환경?...탄소배출량이 내연기관차급

저탄소 친환경 자동차로 규정되고 있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가 실제로는 휘발유 내연기관 자동차와 맞먹는 탄소를 배출하고 있는 것

KT 불법 기지국 4개→20개로...소액결제 피해자 더 늘었다

KT가 자사 통신망에 접속해 가입자 불법결제에 이용한 불법 초소형기지국(펨토셀)이 20개였던 것으로 전수조사 결과 드러났다. 당초 알려진 바로는 불

현대차, 인니에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 개소...수거부터 교육까지

현대자동차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생태계 조성 일환으로 인도네시아에 지역주민 주도형 플라스틱 자원순환시설을 개소했다. 16일(현지시간) 인도네

기후/환경

+

국제해운 '탄소세' 연기에…기후솔루션 "2050 탄소중립 시계 멈췄다"

국제해운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세계 첫 탄소세 시장 도입이 최종 문턱에서 불발되자, 기후환경단체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녹색이 사라지는 바다...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바다에서 녹색이 사라지고 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과 중국 칭화대학 연구팀은 2001~2023년 중·저위도 해

트럼프 어깃장에...수년간 합의한 '해운 탄소세' 물거품되나?

당초 2027년부터 도입할 예정이었던 이른바 '해운 탄소세'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개 반대에 부딪혀 1년 이상 연기됐다.유엔 산하 국제해사기

지역따라 미세먼지 특성 달라...서울은 '빛반사형' 멕시코는 '빛흡수형'

도시에 따라 대기를 뒤덮은 초미세먼지(PM2.5)의 성분이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성분이 많은 반면, 멕시코시

[날씨] 갑자기 닥친 겨울...아침 1℃까지 '뚝' 산간은 첫눈

기온이 갑자기 1℃까지 뚝 떨어지면서 초겨울 날씨를 보이겠다.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찬공기가 남하하면서 아침기온이 2℃까지 떨어지고 강원도 북부

[ESG;NOW] 하이트진로 탄소배출량 감축했다고?...생산량 감소로 '착시'

하이트진로가 최근 2년간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9% 감축한 것으로 공개했지만 실제로는 판매량 감소로 인한 착시현상인 것으로 드러났다.하이트진로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