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 스타베이스 확장, 멸종위기종 '피리물떼새' 서식지 파괴된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5-04 16:07:46
  • -
  • +
  • 인쇄
미 어류야생동물관리국(FWS), 멸종위기종 피해완화 조치 요구
최종 승인책임은 미 연방항공국(FAA)에 달려있어
▲미국 멸종위기종인 피리물떼새. 스페이스X의 텍사스 스타베이스 사업이 강행될 경우 피리물떼세의 서식지가 피해를 입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사진=언스플래쉬)

미국 항공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텍사스 스타베이스 확장계획이 멸종위기종의 생존에 해를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미국 CNBC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어류야생동물관리국(FWS)은 최근 스페이스X에서 사우스텍사스 시설을 가동하면서 멸종위기종인 피리물떼새(piping plover)가 감소하고 있다는 내용의 문서를 공개했다.

스페이스X는 텍사스 주 보카치카에서 자사의 스타쉽 슈퍼헤비리프트발사체 테스트 및 상업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에 2021년 9월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항공국(FAA)에 텍사스주 브라운스빌과 사우스 파드레 아일랜드에 새로운 시설을 건설하고 더 큰 스타쉽 로켓을 발사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했다. 기업 측은 FAA으로부터 발사대 냉각용 시스템 및 저수시설을 포함한 새로운 발사대, 착륙대, 발전소, 천연가스 처리시설 및 수자원 인프라 건설 허가를 요구했다.

문제는 해당 시설 주변이 야생동물보호구역이라는 것이다. FWS는 스페이스X가 텍사스 사업을 강행할 경우 멸종위기종법에 따라 보호되는 일부 종과 주요 서식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약 366만㎡의 피리물떼새 서식지가 시설을 둘러싸고 있으며, FAA가 스페이스X의 활동을 허가할 경우 그 중 절반에 가까운 180만㎡ 규모의 서식지가 손실된다는 것이다.

가장 큰 우려사항은 피리물떼새, 붉은가슴도요, 재규어런디 및 오셀롯 개체군의 짝짓기, 이동, 건강 및 서식지에 미칠 영향이다. FWS는 일반 차량통행에서부터 건설, 로켓시험, 발사에 따른 소음, 열, 폭발, 이로 인한 서식지 파괴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에 의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러 종의 바다거북도 관심대상이다. 그 중 하나는 보카치카해변에 서식하는 켐프각시바다거북(Kemp’s Ridley sea turtle)으로,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한 종이다. FWS 측에서는 해양생물 문제의 경우 관련 전문지식의 필요성을 고려해 미국 해양대기청에 맡겼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X는 보카치카에서 시설건설 및 발사승인을 받으려면 해당 지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과 서식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조치를 취할 것을 요구받고 있다. FWS는 기업에서 대상 동물개체군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하고, 건설과 발사활동을 특정 계절 또는 주야간 시간으로 제한하며, 셔틀을 사용해 현장근로자들의 차량통행을 줄이기를 권고했다. 또 미국에서 멸종위기에 처한 제왕나비에 미칠 영향도 추가로 연구할 것을 장려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FWS의 의견이 오히려 스페이스X에 좋은 소식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었다. 재러드 마골리스(Jared Margolis) 생물다양성센터 선임변호사는 BCO 초안에 관해 "FWS는 스페이스X의 지출, 보존, 그리고 기타 약속을 거의 요구하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FWS는 야생동물에 미치는 보카치카 시설의 유해성에도 불구하고 허용범위를 더 넓히려 고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마골리스 변호사는 FWS가 스페이스X로 하여금 매년 오셀롯보존단체에 5000달러 정도의 소액만 기부하도록 요구한 점을 지적하며 정작 보존과 관련된 명확한 공약은 스페이스X에게 요청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또 그는 대부분의 요청이 권고사항에 불과하며, 최종 FAA 허가조건에 따라 집행될 수 없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스페이스X의 텍사스 사업에 대한 최종 승인 및 감독 책임은 결국 FAA에 있다. 기업의 사업확장 및 발사 여부는 FAA의 승인에 달려 있는 것이다. FAA 측에서는 허가를 내리기 전 다른 연방 및 주 기관과 지역환경전문가의 연구를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스X 사업의 멸종위기종법 위반여부를 두고 FWS와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문서에 따르면 현재 스페이스X는 발사장에 위치한 유틸리티 규모의 천연가스 발전소에서 생산할 에너지의 양을 줄이고 있다. 또 지난 2월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CEO는 텍사스의 규제가 극복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스타쉽 발사활동을 플로리다주로 옮기고 보카치카우주공항을 연구개발(R&D) 캠퍼스로 전환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척박한 토양 늘어나고 있다...'물부족, 가뭄, 홍수' 초래

토양 악화로 물부족,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해지고, 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토양보존 촉구단체 세

EU, 車 탄소배출 규제완화 확정…"전기차 전환 지연 우려"

유럽연합(EU)이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유럽의회는 8일(현지시간)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2027년까지 3년 평균 배출

4월 1.5℃ 또 무너졌다…역대 두번째 더운 4월로 기록

올 4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1℃ 상승해 관측 사상 두번째로 더운 4월로 기록됐다.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