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1만2000종' 화학물 사용금지 추진...영원한 화학물질 'PFAS'도 포함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26 20:41:40
  • -
  • +
  • 인쇄
'EU리치' 개정안 발표..."역대급 규제범위"


유럽연합(EU)이 암과 호르몬 교란, 생식장애, 비만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1만2000종의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사용금지를 추진하고 있다.

25일(현지시간) EU는 과불화합물(PFAS)과 모든 난연제, 비스페놀, PVC 플라스틱, 일회용 기저귀 등 독성을 포함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사용금지 내용을 담은 'EU리치'(EU REACH) 개정안을 공개했다.

PFAS를 금지하는 것은 세계 처음이다. PFAS는 옷과 신발, 조리기구 등 거의 대부분의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는 화학물질이다. 그러나 이 화학물질은 자연분해가 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알려져 있다. 일회용 기저귀, 어린이 놀이터용 과립에 들어있는 PAHs(다환방향족탄화수소) 등이 금지 검토목록에 올라있다.

금지대상에 오른 화학물질들은 유럽화학청(European Chemicals Agency)의 '롤링 리스트'(rolling list)에 포함해 제한 여부가 고려된다. 이 목록은 2027년 예정된 EU리치 개정 이전까지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업데이트된다.

이같은 내용의 EU의 규제안이 공개되자, 역대급으로 환영받고 있다. 유럽환경국(EEB)은 "최대 1만2000종의 화학물질이 규제대상에 포함되면 세계 최대 규모의 유해화학물질 규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EU리치는 EU 내에서 연간 1톤 이상 제조·수입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해 유통량 및 유해성 등에 따라 등록평가승인을 받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이미 규제범위가 세계 최대에 이른다. 여기에 새로운 규제목록이 추가될 경우, 상당수의 기업들이 제약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타티아나 산토스(Tatiana Santos) 화학정책국장은 이번 EU의 계획을 두고 "지금까지 나온 것 중 가장 대담한 규제"라며 "석유화학업계 로비스트들은 현재 충격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번 규제안이 거의 모든 제조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화학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을 줄일 것을 약속한다고 시사했다.

그러나 기업단체는 "이번 계획이 합성물질을 다량 사용하는 선크림, 향수 등의 화장품을 비롯해 페인트, 청소제품, 접착제, 윤활제, 살충제 생산에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 측에서는 규제범위의 축소 및 안전한 대체제품 개발 인센티브, 수입규제를 요구했다.

존 차브(John Chave) 무역기구 유럽코스메틱(Cosmetic Europe) 국장은 "많은 성분이 피부 감작제에 속해 다양한 화장품이 잠재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화장품의 안전성 및 다양성, 선택권, 그리고 기능적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헤더 키긴스(Heather Kiggins) 유럽화학산업협회(Cefic) 대변인은 "일부 규제는 업계와 밸류체인(value chains)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 반발에도 불구하고 유럽화학청은 화학물질을 전체적으로 규제하겠다는 입장이다. 특정 화학물질의 사용이 금지됐을 때 기업들이 물질의 화학성분을 조작하거나 다른 유해물질로 대체해 개별규제를 교묘히 피하는 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유감스러운 대체'(regrettable substitution)로 알려진 이 산업 전략은 화학물질을 개별적으로 규제하는 법안의 맹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이용해 내분비교란 비스페놀A와 같은 물질도 다른 비스페놀로 대체할 수 있어 환경단체들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게다가 이러한 대체행위까지 규제하려면 긴 입법싸움을 거쳐야 한다.

산토스 국장은 이를 두고 "금지된 유해물질을 아직 금지되지 않은 유해물질로 대체하는 화학업계의 냉소적이고 무책임한 전술"이라며 "규제를 피하기 위한 유감스러운 대체 패턴을 수십 년간 목격해왔다"고 비판했다.

전세계에 합성화학물질은 1억9000만가지 이상 등록돼 있으며, 1.4초마다 새로운 산업용 화학물질이 생성된다. 유엔은 5조달러 가량의 산업가치가 2030년까지 2배, 2060년까지 4배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동시에 화학물질로 인한 환경상, 건강상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독일 환경운동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2014~2019년 사이에 BASF, 바이어, 다우케미칼, 엑손모빌 등 산업대기업들이 안전성 검사를 완료하지 않고 수백만톤의 화학물질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초 과학자들은 화학오염으로 지구생태계가 붕괴하기 시작하는 '경계'를 넘어섰다고 경고했다. 화학오염은 고래종을 멸종위기로 몰아넣고 있으며 인간의 출산율을 감소시키고 연간 200만명의 사망자를 낸다.

비르기니유스 신케비추스(Virginijus Sinkevičius) EU 환경담당 집행위원은 이번 규제가 "산업용, 전문용, 그리고 소비재 사용에 걸쳐 사람과 환경의 유해물질 노출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티에리 브레튼(Thierry Breton) EU 내수정책담당 집행위원은 "청정한 환경을 조성하려면 위원회의 투명성과 가시성이 요구된다"며 이번 규제안이 그러한 가시성을 제공하고 기업과 기타 이해관계자가 다가올 제한에 더욱 원활하게 대비할 수 있게 해준다"고 전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제철, CDP 선정 기후대응 원자재 부문 우수기업 수상

현대제철이 글로벌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로부터 기후변화 대응 분야 우수기업으로 선정됐다.현대

'해킹사고' 부실 대응 SK텔레콤..."ESG 등급 하락 불가피"

SK텔레콤 해킹사태로 고객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유출되면서 SKT의 ESG평가에서 사회(S)부문과 종합부문 등급이 1등급씩 하락할 가능성이 제기됐다. 고객

KB국민은행, 올해 지역에 '작은 도서관' 9곳 더 늘린다

KB국민은행이 올해까지 134개의 'KB작은도서관'을 조성해 미래세대를 위한 독서 인프라를 확대할 예정이라고 30일 밝혔다.KB국민은행은 지난 14일에는 울

LG유플러스,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LG유플러스가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버서더 서울호텔에서 열린 '2024 CDP(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 코리아 어워즈'에서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CDP Climate

11번가 사령탑 교체...신임 대표로 박현수 CBO 선임

SK스퀘어 자회사 11번가가 지난 29일 오후 열린 이사회에서 신임 대표이사로 박현수 11번가 CBO(최고사업책임)를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 안정은 전임 대

경기도 푸드뱅크, 세제와 휴지 등 '생활용품'도 기부받는다

경기도가 푸드뱅크를 통해 식품뿐만 아니라 세제와 휴지 등 다양한 생활용품도 기부받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푸드뱅크·마켓은 취약계층에 기부

기후/환경

+

대구 함지산 산불 '재발화'...강풍에 불씨 되살아나

이틀만에 주불이 잡히면서 완전된 것으로 알았던 대구 함지산 산불이 다시 발화하면서 주민들이 다시 대피했다. 건조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불어대는

기후위기로 야외 음악공연도 '위기'...티켓 판매부진 현상

호주에서 기후위기로 야외 뮤직 페스티벌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보고서가 나왔다.호주 로열 멜버른 공과대학(RMIT)이 지난 23일(현지시간) 발간한 '뮤

"해운탄소세 피하려면 '전기추진선'으로 교체해야"

탄소배출이 많은 선박을 전기추진선으로 대체하고 녹색해운항로를 개척하면 해운부문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해운은 전

기후재해 보상은 왜 제한?...손보사 車보험약관 공정위 '심판대'

기후위기로 올여름도 무더위와 수해 피해에 대한 우려가 높은 가운데 기후위기로 인한 재해 피해는 보상하지 않는 보험약관의 불공정 조항을 개정해

대구 산불 이틀째 진화율 82%...주불 아직도 못잡아

지난 28일 발생해 이틀째 번지고 있는 대구 함지산 산불이 아직도 주불을 잡지 못하고 있다.산림 당국에 따르면 29일 오전 8시 기준 대구시 북구 노곡&mid

트럼프 '해저광물' 개발규제 완화에..."생태계에 치명적" 비판

미국이 해저 광물 개발을 장려하기로 한 결정에 "해양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