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코딩방식 바꾸면...전력소모 99% 절감할 수 있다?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30 14:17:50
  • -
  • +
  • 인쇄
비트코인 코딩방식, PoW에서 PoS로 전환해야
이더리움은 올 2분기 이내에 PoS로 전환 예정


비트코인의 코딩방식을 바꾸면 채굴시 소모되는 전력을 99% 이상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현지시간) 미국의 비영리 환경시민단체 환경워킹그룹(EWG),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 등은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Change the Code Not the Climate)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모든 거래내역을 암호화된 정보로 공유하도록 돕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투명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디지털 자산이다. 암호화폐를 얻는 방법은 크게 3가지다. 거래소에서 직접 구입하는 방법,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 대가로 받는 방법, 새로운 비트코인을 '채굴'(mining)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여기서 '채굴'은 모든 사람의 장부에 거래 기록을 추가하는 과정을 가리킨다. 기본적으로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를 지향하기 때문에 '채굴'을 통해 은행의 역할을 대신해 거래 장부를 관리할 '관리자'가 필요하다. 사용자가 많아지고 거래량이 늘어날수록, 암호화해서 기록해야 하는 정보량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채굴'을 한 사람에게 확률적으로 일정량의 암호화폐가 보상으로 지급된다. 노역을 들여 확률적으로 보상을 얻어내는 과정이 금광에서 금을 캐내는 과정과 비슷해 여기 빗댄 표현이 굳어진 것이다.

문제는 채굴 과정이 엄청난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고,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려면 막대한 양의 전기가 소모된다는 점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대안금융센터에 따르면 전세계 비트코인 채굴의 전력소비량은 136.79테라와트시(TWh)로 스웨덴의 연간 전력생산량을 넘는다. 특히 2021년 중국이 암호화폐 채굴을 금지하자 채굴자들이 미국으로 이주하면서 지난해 8월 미국의 탄소배출량이 2020년 평균치를 17%나 웃도는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암호화폐 채굴은 화석연료 사용을 부추기기까지 한다. 최근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소재 채굴기업 스트롱홀드 디지털 마이닝(stronghold Digital Mining)은 1억5000만달러(약 1817억원)를 들여 1800대의 컴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소를 열었다. 그런데 해당 발전소는 동력원으로 연간 60만톤에 달하는 값싼 석탄 폐기물을 연소시키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환경단체들이 암호화폐 채굴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더는 간과할 수 없다고 나선 것이다.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 캠페이너들은 비트코인의 코딩을 변경해 채굴방식을 전환하기만 해도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채굴방식을 '작업증명'(Proof of Work·PoW)에서 '지분증명'(Proof of Stake·PoS)으로 전환하면 전력소모량을 99.95%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더리움은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올 2분기 이내에 PoS 방식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비트코인은 PoW 방식을 사용한다. PoW는 작업량이 많다고 증명한 사람에게 채굴 보상을 해주는 시스템이다. 암호화를 위한 알고리즘은 답이 정해져있고, 답에 이르기 위한 수식은 무궁무진하다. 수식을 맞춘 사람에게 보상이 주어지기 때문에 누구보다 빠르게 많은 입력값을 넣을 수 있는 기계가 필요하고, 이로 인한 전력소요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그러니까 비트코인은 전력을 소모해 환경을 파괴할수록 인센티브가 주어지는 것이다.

반면 PoS 방식은 암호화폐의 보유량에 따라 관리자 역할을 맡을 확률이 높아진다. 누가 얼마나 빨리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푸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지갑에 얼마나 많은 암호화폐가 들어있느냐가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PoS 방식은 별도의 채굴기가 필요없고, 암호화폐를 보유한 누구나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기만 한다면 채굴에 참여할 수 있다.

'기후가 아니라 코딩을 바꾸자' 캠페인의 책임자 마이클 브룬(Michael Brune)은 "현재 업계 주요 인사 및 기업 12곳과 협력하고 있다"며 "이들 중 일부는 비트코인 관련 사업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준수를 약속했다"고 밝혔다. 리플코인 공동창업자 크리스 라슨(Chris Larsen) 역시 "이더리움이 PoS 기반 네트워크로 전환하면 비트코인은 외톨이가 된다"면서 "비트코인이 환경 친화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인 투자자 지원을 받지 못할 것"이라며 "지금의 비트코인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은행,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활동

우리은행이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해 플로깅 봉사에 나섰다고 12일 밝혔다.우리은행의 직원 사회공헌 커뮤니티 'WOORI 가족봉사단' 은 지난 10일 인천 을

KB국민은행, 2027년까지 3만㎡ '바다숲' 조성한다

KB국민은행은 5월 10일 '바다식목일'을 맞아 오는 2027년까지 3만제곱미터(㎡)의 바다숲을 조성하는 'KB바다숲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12일 밝혔다.바다는

대한항공, 캐나다 2위 항공사 '웨스트젯' 지분 10% 인수

대한항공이 캐나다 2위 항공사 지분 10%를 인수하며, 글로벌 항공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대한항공은 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캐나다 웨스트젯 항

현대百 등 4개 계열사 자사주 취득..."주주가치 제고 차원"

현대백화점그룹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 등 계열사 4곳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약 3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추가 취득하기로 했다.현대백화점은

빙그레 대표이사에 ㈜제때 김광수 사장 내정

빙그레가 신임 대표이사에 ㈜제때의 김광수 대표이사를 내정했다고 9일 밝혔다.빙그레는 전창원 현 대표이사가 최근 개인적인 이유로 자진 사임 의사

LG화학, 협력사 탄소중립 지원 소매걷었다..."ESG경영 실천"

LG화학이 협력사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LG화학은 9일 '탄소중립 선도플랜트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우수 협력사인 우성케미칼의

기후/환경

+

'바나나 재배지' 기후변화로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

2080년까지 기후위기로 바나나 재배지 가운데 3분의 2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자선단체 크리스천에이드가 12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

척박한 토양 늘어나고 있다...'물부족, 가뭄, 홍수' 초래

토양 악화로 물부족, 가뭄, 홍수 등 기후재난이 더욱 빈번해지고, 토양의 탄소저장 능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국제토양보존 촉구단체 세

EU, 車 탄소배출 규제완화 확정…"전기차 전환 지연 우려"

유럽연합(EU)이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규제를 완화하기로 했다.유럽의회는 8일(현지시간) 자동차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2027년까지 3년 평균 배출

4월 1.5℃ 또 무너졌다…역대 두번째 더운 4월로 기록

올 4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1℃ 상승해 관측 사상 두번째로 더운 4월로 기록됐다.유럽연합 기후변화 감시기구 코페르니쿠스 기후변

美중부지역 '4일간 비가 내릴 가능성' 40%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미국 중부지역에서 나흘간 연속적으로 비가 내일 가능성이 40% 더 높아졌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기후연구단체 세계기상특성(WWA)이 9

美 15개 주 '반기'...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명령에 공동소송

미국의 15개 주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에너지 비상사태' 행정명령에 반대하며 9일(현지시간) 연방법원에 공동소송을 제기했다. 해당 행정명령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