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ESG위원회' 회의 분기당 1회 미만...안건 70%가 '非ESG'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5 11:18:58
  • -
  • +
  • 인쇄
보고·검토 수준에 그친 안건이 56.4%
에너지·철강·건설 위원회 설치 소극적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2020년말부터 이사회 산하에 ESG(환경·사회·지배구조)위원회를 앞다퉈 구성했지만 실제 활동은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업종별 편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기업들은 ESG위원회 설치에 적극적인 반면 에너지와 철강 등의 업종은 소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1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사 169개사 가운데 ESG위원회 또는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한 기업 88개사의 지난해 활동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기업별로 위원회 회의를 개최한 건수가 평균 2.9회에 그친 것으로 나왔다. 회의건수가 분기별 1회 이하에 불과했다.

ESG 위원회를 설치한 이들 88개사는 지난해 총 251차례의 회의를 개최했다. 251차례 회의에서 상정된 안건은 567건으로, 회의당 평균 2.2건이었다. 이 가운데 247건(43.6%)은 가결 안건이었고, 나머지 320건(56.4%)은 보고 또는 검토 논의 수준에 그쳤다. 게다가 전체 안건의 약 70%인 370건은 투자·합병 등 ESG 이사회가 아닌 일반 이사회에서 다뤄도 무방한 경영활동 관련 안건이었다.

회의 안건을 분야별로 보면 지배구조(G) 관련이 73건(12.9%), 환경(E) 관련이 30건(5.3%), 사회(S) 관련이 25건(4.4%)이었다. ESG 전략 관련 안건은 49건(8.6%)이었다.

ESG 위원회 설치도 업종별로 달랐다. 일반 소비자와 직접 연관이 있는 생활용품, 은행, 유통 등의 업종은 ESG위원회 설치 비중이 높은 반면 에너지, 철강, 건설 등의 업종에서는 상대적으로 ESG위원회 설치에 소극적이었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모두 ESG 위원회를 두고 있으며 회의 횟수나 ESG 직접 관련 안건에 있어서도 평균 이상의 비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ESG 위원회 활동에 적극적인 업종은 은행이다. 자산규모 2조원 이상 상장사 10개 중 제주은행과 우리종금을 제외한 8개가 ESG 위원회를 운영 중이다.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의 화장품 기업과 롯데쇼핑, 신세계, 이마트, GS리테일 등 유통기업들도 80% 이상이 ESG 위원회를 설치해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ESG 위원회 설치 비중이 50% 미만인 업종은 조선 기계설비(46.7%), 증권(41.2%), 운송(33.3%), 철강(25.0%), 건설 및 건자재(9.1%) 등이었다.

지난해 ESG 위원회 회의를 가장 왕성하게 운영한 기업은 SK로, 총 12번의 회의에서 41건의 안건을 가결 또는 보고했다. 뒤이어 미래에셋생명(11회), 현대모비스(10회), 현대자동차(8회), SKC(7회), 기아자동차(6회), 효성(6회), 포스코·SK텔레콤·삼성물산(각 5회) 등의 순이었다.

10위권 내에 SK그룹과 현대차그룹 계열사가 각각 3개 포함됐다.

88개사의 ESG 위원회 위원은 총 371명으로 이중 사내이사는 84명, 사외이사는 287명이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日 규슈 400mm '물폭탄'…잠기고 무너지고 '아비규환'

11일 일본 규슈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침수와 산사태, 하천 범람 피해가 잇따르며 사망·실종자가 속출했다. 일본기상청은 구마모토현 다

캐나다 1주일째 '활활'...720건 넘는 산불에 '속수무책'

캐나다가 1주일째 대형산불로 신음하고 있다.10일(현지시간) 캐나다산불센터에 따르면 현재 전국적으로 725건의 산불이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는 군과

튀르키예 규모 6.1 지진...200km 떨어진 이스탄불도 '흔들'

튀르키예 서부 발르케시르 부근에서 10일 오후 7시 53분쯤(현지시간) 규모 6.1의 지진이 발생했다.이날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에 따르면 지진의

"韓 10대 기업 폭염 책임액 161조원...발전5사가 58% 비중"

지난 13년간 전세계 폭염으로 인한 피해에서 국내 10대 기업들이 차지하는 책임을 금액으로 환산하면 161조원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161조원 가운데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