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탐폰 1200개로 거대한 탐폰 만들어 P&G 찾아간 까닭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11-16 17:39:38
  • -
  • +
  • 인쇄
英환경운동가 엘라 데이시 "플라스틱 탐폰생산 멈춰라"
▲쓰레기로 버려진 탐폰을 주워 거대한 탐폰 애플리케이터를 만든 엘라 데이시 (사진=엘라 데이시 트위터)


영국의 한 환경운동가가 버려진 탐폰 애플리케이터로 거대한 탐폰을 만들어 주목을 끌었다. '#EndPeriodPlastic' 캠페인을 시작한 엘라 데이시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일회용 생리제품 사용을 반대하는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같은 퍼포먼스를 전개했다.

엘라 데이시는 탐팩스 애플리케이터 1200개로 만든 거대한 탐폰 애플리케이터를 들고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 위치한 탐팩스(탐폰의 일종) 제조업체 프록터앤갬블(P&G) 유럽법인을 방문했다. 제작에 쓰인 애플리케이터들은 클라이드 강에서 실리섬에 이르는 수로와 강변, 해변 등 영국 전역에서 주운 것들이다. 탐폰은 일회용 수저와 빨대, 면봉과 함께 유럽 해변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10대 플라스틱 오염원 가운데 하나다.

P&G는 미국 다국적 기업으로, 탐폰 브랜드 '올웨이즈&탐팩스'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데이시에 따르면, P&G는 세계 탐폰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음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을 줄이는 여타 기업들과 달리 오히려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군을 더 늘리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데이시는 P&G가 생리제품에서 플라스틱을 줄이거나 없애고 재사용 가능한 제품을 개발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일회용 탐폰 애플리케이터는 사용하는데 단 몇 초밖에 걸리지 않지만 분해되기까지 수백년이 걸린다. 데이시의 과제는 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을 중단시키는 것이다.

데이시는 2018년 캠페인을 시작한 이후 10개 이상의 소매업체와 제조업체들을 만났지만, P&G의 반응이 가장 좋지 않았다고 전했다. 그는 "P&G는 글로벌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며 자신이 만난 다른 기업들은 변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반면 P&G는 뒷걸음질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탑폰업체 세인즈베리는 지난 2019년 탐폰용 플라스틱 애플리케이터 생산을 중단하고 연간 2.7톤의 플라스틱을 없앨 것이라고 밝혔다. 알디(Aldi)와 슈퍼드럭(Superdrug), 릴렛츠(Lil-Lets)도 그 뒤를 이었다. 반면 P&G는 이 문제를 계속 외면하고 있다.

데이시가 P&G에 처음 문제를 제기한 것은 2019년이었고, 당시 P&G 경영진은 생뚱맞게도 재생에너지를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P&G 측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해 공장에 전력을 공급한다며, 논지와 전혀 관련이 없는 답변으로 문제를 회피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달하는 데이시는 "녹색에너지로 수십억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쏟아내는 것은 괜찮은 것이냐"며 "기업이 문제를 피하기만 하고 해결력을 전혀 찾지 않고 있다"고 개탄했다.

이에 P&G 대변인은 "플라스틱 오염을 줄이기 위해 제품을 쓰레기통에 올바르게 버리도록 장려하면서, 유럽의 폐기물 기반 시설에 맞춰 이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해결책은 간단하지 않고 시간이 걸리며, 대안을 찾는 동시에 소비자의 요구와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P&G 측은 종이 판지를 사용한 탐폰뿐만 아니라 재사용 가능한 생리제품을 만들었다고 강변했다. "우리의 목표는 생리를 겪는 사람들의 질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지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라는 게 P&G의 입장이다.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지난 8월 영국 정부는 일회용 접시와 수저, 폴리스티렌 컵을 금지한다고 발표했으며, 2019년 유럽연합(EU)에서는 일회용 플라스틱 수저, 접시, 빨대, 젓가락 및 면봉 사용을 금지하는 법률이 통과돼 2021년 7월부터 발효됐다. 이 법안은 플라스틱 탐폰, 패드 및 어플리케이터까지 금지하지 않았다. 이에 환경운동가들은 생리용품을 포함한 물티슈, 담배필터, 테이크아웃 음료컵도 사용금지 품목에 포함시키거나 올바른 폐기법을 표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이브 레이블 어도어, 이도경 신임 대표이사 선임

하이브 뮤직그룹의 레이블 어도어(ADOR)는 20일 이도경 부대표(VP)를 신임 대표이사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어도어는 이 신임 대표의 선임 배경에 대해 음

남양유업, 종이팩·멸균팩 재활용한 백판지 '포장지로 사용'

남양유업이 멸균팩을 재활용해서 만든 포장지를 사용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위해 남앙유업은 지난 5월 천안시, 제지업체 등 8개 기관∙업체와 '종이

빵부터 트럭 20대까지...SPC, 푸드뱅크에 3200억 기부

푸드뱅크에 빵과 아이스크림 등을 기부해온 SPC그룹이 기부식품 배송용 차량도 앞으로 5년간 계속 기부하기로 했다.SPC그룹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전국

김성환 환경부 장관 "기후에너지부 신설 막바지…미세 조정만 남았다"

국회에서 열린 국회 기후위기 특별위원회(기후특위) 전체회의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 "마지막 미세 조정중"이라고

하나금융, 지난해 ESG경영활동 5.5조 사회적 가치창출

하나금융그룹의 지난해 ESG 경영활동이 약 5조5359억원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것으로 측정됐다.하나금융그룹은 18일 발간한 '2024 ESG 임팩트 보고서'를

LG화학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지' 공모전 개최

LG화학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희망친구 기아대책'과 함께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지'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기후/환경

+

내연기관차 '전기차'로 전환하면 보조금...내년 400만원까지 확대

내년부터 내연기관 차를 전기자동차로 전환할 때도 지원금을 받을 수 있다. 전기차보조금은 1대당 평균 400만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김성환 환경부 장

'산불 연기' 미세먼지보다 더 치명적...사망률도 2배 높아

산불 연기가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19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글로벌보건연구소(ISGlobal) 연구팀은 산불이

작년 국가온실가스 배출량 6억9158만톤...산업 배출량 나홀로 증가

2024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6억9158만톤으로 잠정 집계됐다.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파리기후변화협정에 따른 새로운 2006 기후변화에

28개국만 '2035 NDC' 제출...브라질 COP30 개최 앞두고 제출 촉구

올 11월 열리는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개최국인 브라질이 각국에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 제출을 촉구하고 나섰다. 현재까지

한국인 1인당 생활 온실가스 배출량 9.46톤…중국의 2배

한국인이 일상생활을 하면서 배출하는 온실가스가 1인당 연간 9.46톤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의 2배, 인도인의 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20

시원한 북유럽도 옛말...7월 30°C 최장기간 폭염 시달려

추운 날씨의 대명사로 불리는 북유럽 지역이 올여름 이례적인 폭염에 시달렸다.18일(현지시간) 미국 CNN은 지구온난화로 북극을 비롯한 북위도 지역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