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대 탄소포집 시설 '오르카'...아이슬란드에서 본격 '가동'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9-10 12:09:50
  • -
  • +
  • 인쇄
年4000톤 CO2 포집해 지하암반에 영구격리
포집량 비해 포집비용 비싸 보완역할 그칠듯
▲연간 4000톤의 탄소를 포집하는 아이슬란드의 탄소포집시설 '오르카' (사진=클라임웍스)


연간 자동차 870대가 내뿜는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CCUS) 시설이 본격 가동되기 시작했다.

스위스 친환경 솔루션기업 '클라임웍스'(Climeworks)가 개발한 직접공기포집(DAC) 시설 '오르카'(Orca)가 8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에서 기념식을 갖고 가동에 들어갔다. 이 시설은 연간 4000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아이슬란드어로 에너지를 뜻하는 '오르카'는 아이슬란드 최대 지열발전소 헬리샤이디 근처에 위치해 있다. 덕분에 오르카는 천연가스로 가동되는 기존 CCUS 장치들과 달리 재생에너지로 가동되기 때문에 탄소포집량 대비 10% 이하의 이산화탄소만 배출한다.

오르카는 DAC 기술을 사용한다. 부착된 여러 대의 환풍기가 공기를 빨아들이면 흡착제가 달린 필터를 지나게 된다. 미량의 산성을 띠고 있는 이 흡착제가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인다. 필터가 꽉 차면 100°C까지 가열해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가스를 방출한다.

필터에서 방출된 이산화탄소는 파이프를 타고 다른 시설로 이동한다. 이 시설에서 이산화탄소를 물에 용해시키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산화탄소 1톤당 27톤의 물이 쓰이게 되고, 물에 녹은 이산화탄소는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다.

클라임웍스는 아이슬란드 스타트업 카브픽스(Carbfix)와 협업중이다. 카브픽스는 오르카가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광물화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탄산수 형태로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인근지역 1000m 지하 현무암 암반층에 주입하면 2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 암석으로 굳어진다는 것이다.

기존 CCUS 장치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는 탄산음료와 같은 상업용 제품에 사용되면서 도로 배출됐다. 또 석유회사들이 더 많은 석유를 파낼 명분을 얻기 위해 투자하는 일이기도 하다. 반면 오르카는 영구격리 저장방식이어서 탄소를 추가로 배출하지 않기 때문에 CCUS 기술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받는다.

다만 전문가들은 비용을 문제삼았다. 오르카의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은 1톤당 1100달러(약 130만원) 규모다. 더욱이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150만~1500만톤의 탄소를 포집해야 한다는 분석을 보면 턱없이 적은 포집양이다. 2019년 기준 미국에서만 51억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미국 아메리칸대학교의 탄소제거 법률·정책연구소 데이비드 머로우 소장은 "DAC 기술이 빠른 시일 내에 충분히 저렴해지지는 못할 것"이라며 "어디까지나 보완적인 역할을 맡을 것이며 주력 탄소 제거 사업으로 발전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클라임웍스는 2030년까지 1톤당 이산화탄소 포집비용을 200~300달러(약 23만~35만원)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 유럽 AI커머스 발판 마련...스페인 '왈라팝' 경영권 인수

네이버가 스페인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 '왈라팝'의 지분 70.5%를 3억7700만유로(약 6045억원)에 인수하기로 5일 결정함에 따라 유럽의 AI 커머스 거점을 확

동원산업, 동원F&B 100% 자회사로 편입 완료

동원그룹의 지주사 동원산업이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한 동원F&B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는 절차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동원그룹은 지난 4월 동원

HLB생명과학-HLB 합병 철회…주식매수청구권 400억 초과

HLB생명과학이 HLB와 추진해오던 합병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 양사는 리보세라닙 권리 통합과 경영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합병을 추진해왔지만, 주식매

KCC, 울산 복지시설 새단장...고품질 페인트로 생활환경 개선

KCC가 울산 지역 복지시설 새단장에 힘을 보태며 사회공헌을 지속하고 있다.KCC가 지난 29일 울산해바라기센터 보수 도장을 진행했다고 31일 밝혔다. 추

SK AX, EU 에코디자인 규제 대비 '탄소데이터 통합지원 서비스' 제공

SK AX(옛 SK C&C)가 유럽연합(EU)의 공급망 규제 본격화에 대비해 국내 기업들이 민감 데이터를 지키고 규제도 대비할 수 있도록 '탄소데이터 대응 통합

안전사고 나면 감점...ESG평가 '산업재해' 비중 커지나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산업재해가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31일 ESG 평가기관에 따르면 기업의 ESG 평가에서 감점 사례

기후/환경

+

'폭염↔폭우' 교차하는 이상기후...원인은 '해수온 상승탓'

올여름 폭염과 폭우가 번갈아 나타나는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이달 3일 광주와 전남, 경남 등 우리

"숲가꾸기 정책 개선해야"…전문가들 산림정책 전환 '한목소리'

국회에서 열린 산림정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한목소리로 "지금처럼 운영되는 숲가꾸기 정책은 바뀌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국회 산불피해지원

이미 25% 증발...유네스코유산 '허드섬 빙하' 사라질 위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도 등재된 허드섬의 빙하가 지구온난화로 이미 25%가 녹아내렸다.4일(현지시간) 호주 모나시대학의 남극환경미래확보(SAEF) 연구

주거지·학교 인근서 유해가스 '뿜뿜'...불법배출 업체 10곳 적발

주거지와 학교 인근에서 유해가스를 불법 배출한 업체들이 적발됐다.경기도는 지난 6월 25일부터 7월 8일까지 도장·인쇄업체 210개를 대상으로 유

올 7월 한반도 평균기온 27.1℃...'역대 두번째로 더웠다'

우리나라의 올 7월은 2018년에 이어 역대 2번째로 더웠다.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7월 전국 평균기온은 27.1℃로 나타났다. '20세기 최악의 더위'가 나타난

[날씨] '폭염과 폭우' 급변하는 날씨...6일 120㎜ 폭우 예보

5일 낮기온이 36℃까지 치솟는 폭염이었다가 수요일인 6일은 최대 120㎜의 폭우가 퍼붓는 종잡을 수 없는 날씨를 보이겠다.고온다습한 남풍의 유입으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