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싫어요' 숫자감추기 도입..."혐오콘텐츠는 어쩔건데?"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3-31 17:36:13
  • -
  • +
  • 인쇄
(출처=유튜브 트위터 계정)

유튜브가 영상콘텐츠 내용과 상관없이 의도적으로 '싫어요'를 누르는 시청자로부터 크리에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싫어요 숫자감추기' 기능을 도입한다.

유튜브는 30일(현지시간) 공개된 영상에서 '싫어요' 숫자가 보이지 않게 설정할 수 있는 포맷을 시범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튜브는 공식트위터를 통해 "크리에이터의 안녕과 특정 영상을 겨냥한 조직적인 '싫어요' 활동을 막기 위해 이 작업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유튜브는 시범운영을 거쳐 수주내 자발적인 참여자에 한해 '싫어요 숫자감추기' 기능을 적용할 예정이다.

'싫어요 숫자감추기' 기능을 선택하면 공개된 영상에서 '싫어요' 숫자가 보이지 않지만, 크리에이터는 자신의 관리페이지에서 '좋아요'와 '싫어요' 통계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유튜브는 '싫어요' 악용으로 크리에이터의 생계가 위협받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내부적으로 '싫어요'와 '좋아요'를 모두 없애기, '싫어요'를 누르기 위해 특정절차를 포함하기 등 여러 선택지를 놓고 고민하다가 '싫어요' 숫자만 감출 수 있도록 했다. 그 이유는 이용자가 '싫어요' 숫자가 늘어나는 것을 보기만 해도 이에 동참하려는 동기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변화는 이미 '좋아요' 수를 보여주지 않는 인스타그램, 좋아요를 없애고 '팔로워' 기능을 강조한 페이스북 등 여러 소셜서비스(SNS)에서 시도한 바 있다.

하지만 유튜브의 이번 결정에 반발하는 움직임도 있다. 혐오콘텐츠나 자극적인 영상을 필터링하기 위한 방식으로 '싫어요'를 누를 수 있는 선택권이 사라진다는 이유에서다.

한 누리꾼은 "'싫어요'는 크리에이터, 시청자, 알고리즘 모두에게 가장 유용한 피드백 도구이고, 영상의 가치를 결정한다"며, '싫어요' 매크로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 클릭 후 5초 이내에는 싫어요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방식 등 유튜브가 '싫어요' 문제를 보다 섬세하게 대처할 것을 촉구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보이스피싱 183건 잡은 KB국민은행 직원들..."세심한 관찰 덕분"

KB은행의 한 지점을 찾은 고객이 1억원짜리 수표를 소액권으로 다시 발행해달라고 요청하자, 은행 창구 직원은 고객에게 자금출처와 발행인 정보를 물

빙그레, 임직원 대상 '전자제품 자원순환' 캠페인 실시

빙그레가 전자제품 회수 및 재활용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실시했다.빙그레는 14일 '국제 전자폐기물 없는 날'을 맞아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이번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LG전자 인도법인 '인도증시' 상장..."인도 국민기업으로 도약" 다짐

LG전자 인도법인이 14일(현지시간) 인도 증권시장에 상장했다.LG전자는 이날 인도 뭄바이 국립증권거래소(NSE)에서 조주완 CEO, 김창태 CFO, 전홍주 인도법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국가온실가스 60% 차지하는데...기업 배출량 5년새 고작 14.7% 감축

최근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에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는 지적이다.기

기후/환경

+

도심 '싱크홀' 지하수유출이 원인인데...정부 관리체계 '구멍'

최근 국내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싱크홀'(지반침하)의 원인이 지하수 유출이 지목되고 있음에도 이를 관리할 수 있는 통계항목조차 없는 것으로

전세계 합의가 '무색'...3년새 사라진 산림면적 2배 늘어나

지난해 전세계에서 사라진 숲의 면적이 8만1000㎢에 달했다. 3년전 전세계 100개국 정상이 합의한 이후 2배 늘었다.14일 발간된 '2025 산림선언평가(Forest Dec

흩어져 있던 정부 기후정보 '통합플랫폼'으로 구축된다

이달 23일부터 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기후위기 정보가 '통합플랫폼'으로 일원화된다.기후에너지환경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

'아시아 녹색금융 평가' 中은 1위인데...한국은 13개국 중 8위

아시아 13개국을 대상으로 진행한 녹색금융 평가에서 한국이 8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1위를 차지했다.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차규근(조국혁신당) 의

내년부터 기업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 16.4% 줄어든다

내년부터 국내 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허용 총량이 현재보다 16.4% 줄어든다.14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

기후재난에 美보험시장 '흔들'...캘리포니아주, 민간 떠나자 공영보험 도입

산불과 홍수 등 기후재난이 빈발하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주정부가 기후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보험을 내놨다. 무너진 민간보험 시장을 정부가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